BNK금융그룹이 계열사인 부산은행과 경남은행의 조선, 해운 등 취약 업종 리스크와 관련해 우려할만한 수준이 아니라는 입장을 밝혔다.
BNK금융그룹은 11일 부산은행과 경남은행이 거래하는 조선과 해운 업종의 여신 규모 등에 대한 분석 결과를 공개했다.
BNK금융그룹 측은 “구조조정 대상으로 언급된 조선·해운업체 관련 여신 규모가 상대적으로 적고, 담보와 이미 적립된 충당금 수준을 고려한 위험 노출액은 이보다 훨씬 낮은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박영봉 BNK금융지주 부사장은 “총여신 대비 조선, 해운업 관련 여신은 4% 수준”이라며 “최근 문제가 불거진 대기업 조선·해운업체와 관련된 그룹 내 여신 규모는 960억원 수준이며 이중 대부분은 무역대금 결제 시 자동으로 회수되며 적정 수준의 담보를 취득한 것으로 부실화되더라도 은행에 미칠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밝혔다.
박 부사장은 “해운업종 구조조정 추진의 주요 걸림돌인 용선료 부분과 관련해 BNK금융그룹과 거래 중인 해운업체 대부분은 자사선을 이용한 중소규모 선단을 주로 운용 중”이라며 “이들 선박에 대한 담보 취득을 통해 여신회수가 쉽다는 점에서 현대상선, 한진해운 등 업체와는 상황이 다르다”고 덧붙였다.
BNK금융그룹은 대기업 구조조정에 따른 조선·해운 관련 지역 협력업체의 연쇄 부실화 우려에 대해서도 일축했다.
부산은행과 경남은행은 2016년 3월 말 기준 조선업종 2조2180억원, 해운업종 6042억원의 여신을 보유 중이며 이는 전체여신 대비 각각 3.4%, 0.9% 수준이다.
여신금액 중 상당 부분이 담보와 기적립 충당금으로 대응할 수 있는 수준이며 대다수 업체가 오랜 기간 BNK금융과 거래관계를 맺어왔고 과거 IMF 사태와 글로벌 금융위기를 극복한 저력 있는 지역 강소기업이라는 점 또한 주목해야 할 부분이라고 BNK금융그룹 측은 설명했다.
박 부사장은 “현재 BNK 금융과 관련된 조선, 해운업
[부산 = 박동민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