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가 미래정책 발굴 연구용역에 착수한데 이어 다음주부터 14개 실무 테스크포스(TF)팀을 본격 가동다. 국토부는 30년 뒤를 내다보는 ‘2045프로젝트’를 위해 조직개편도 단행했다.
1일 국토교통부 관계자에 따르면 강호인 국토부 장관은 최근 주요 국장들이 참석한 가운데 연구용역착수 보고회를 열었고, 젊은 공무원과 전문가들이 7대 3의 비율로 참여하는 실무 TF를 구성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부처 업무가 주택과 현안 위주로 돌아가는 만큼 구글 등 해외 선도기업 움직임과 미국·일본 등 선진국 동향파악 작업이 신선한 자극이 되고 있다”고 전했다.
국토부는 미래정책 설정에 기존 조직체계가 한계가 적잖다는 판단에 따라 새로운 부서를 만드는 등 대규모 조직개편을 단행했다. 첨단항공과와 첨단자동차기술과, 도시경제과 등 3개과를 신설하고 민자철도사업팀과 수자원산업팀 등 2개팀을 만드는 대신 투자심사담당관실과 친수공간과, 항공자격과 등 3개과를 없앴다. 국토부가 미래 신산업으로 지목한 자율주행차, 드론, 공간정보, 해수담수화, 스마트시티, 제로에너지빌딩, 리츠 등을 키우기 위한 포석이다.
관련 시행규칙 개정안은 1일 입법예고됐고 이르면 5월께부터 시행될 전망이다. 국토부 측은 “드론과 자율주행차 등 신기술이 도입되고 있지만 기존 과에서 관리하다 보니 규제 위주로 바라보게 되서 과 신설과 조직 개편까지 대응하게 됐다”고 밝혔다.
첨단항공과는 드론 등 무인비행장치 정책을 총괄해서 무인비행장치와 관련한 인프라를 구축하고 기술개발을 지원한다. 첨단자동차기술과는 자율주행차나 미래형자동차 등 자동차 관련 첨단기술이나 자동차 안전, 친환경차와 관련한 업무를 맡는다. 도시경제과는 주택도시기금 도시계정 운영이 주요 업무다. 산업단지 재
이름이 바뀌며 역할이 확대된 과도 있다. 신도시택지개발과는 부동산개발정책과로 바꿔 부동산개발업과 부동산금융 업무를 담당한다. 운항정책과는 항공안전정책과, 운항안전과는 항공운항과로 각각 명칭이 변경된다.
[이한나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