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가증권시장(코스피)에서 주당 50만원 이상인 고가 주식의 시가총액 비중이 20%에 육박하지만 거래 비중은 매우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당 가격이 큰 탓에 개인들이 선뜻 투자에 나서기 부담스럽기 때문으로 보인다.
1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해 들어 이달 8일까지 코스피에서 일평균 주가가 50만원을 넘는 초고가주는 모두 14개로, 전체 상장 종목(886개)의 1.58%에 불과하다. 이 가운데 100만원을 넘는 주식은 롯데제과(236만7395원)를 비롯해 6개다.
이들 14개 기업의 시총은 235조130억원으로, 코스피 전체 시총(1204조5740억)의 19.5%를 차지한다.이 기간에 이들 기업 주식의 일평균 거래량은 53만9619주로 전체 거래량(3억5476만5천주)의 0.2%에 불과했다.
특히 개인들의 초고가주 하루 거래량은 15만762주로, 코스피 전체 개인 거래량(2억9386만2163주)의 0.05%에 그쳤다.
워낙 비싼 가격 때문에 개인 투자자들이 매매할 엄두를 못내고 외국인과 기관 중심으로만 거래되기 때문이다.
초고가주 중에서도 개인 투자가 가장 적었던 종목은 태광산업으로 하루에 183주 정도에 불과했다. 남양유업(212주), 영풍(348주), 롯데제과(389주)도 거래량이 적었다.
개인 일평균 거래량이 1만주를
거래소 관계자는 “초고가주는 투자자들이 원하는 가격과 시간에 매매하기 어렵다”며 이들 주식의 액면분할을 꾸준히 유도하고 있다고 말했다.
[디지털뉴스국 이상규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