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3일 중소형 빌딩 전문 중개업체 리얼티코리아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중소형 빌딩 거래 금액이 1조4137억원을 기록해 지난 한 해 총 거래액은 5조5077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 2014년(3조2400억원)보다 70%나 급증했다. 거래량도 지난해 1030여 건으로 1000건을 넘어섰다. 거래 금액과 거래량 모두 2012년 통계 작성 이후 최대치다. 문소임 리얼티코리아 수석 연구위원은 "유례없는 저금리에 힘입어 지난해 중소형 빌딩 시장은 괄목할 만한 성장세를 보였다"며 "50억원 미만대 거래가 주를 이뤘지만 80억~100억원 투자도 많았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올해 금리가 오르더라도 중소형 빌딩 투자 열풍이 사그라들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본다. 이진석 리얼티코리아 빌딩사업 본부장은 "지난해 매물을 구하지 못해 투자를 미룬 대기 수요가 여전히 많다"며 "올해도 기본적으로 저금리 기조가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 만큼 자산가들은 중소형 빌딩을 계속 찾을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올해 재건축 등 주택 시장은 공급과잉 논란 등으로 불확실성이 커진 데다 분양 상가는 경기 불황으로 공실률 리스크가 높아지면서 자산가는 중소형 건물로, 소액 투자자는 수익형 소형 아파트로 양분될 것이라는 의견이 많다.
올해 역시 강남 편중 현상이 도드라질 전망이다. 원종성 리얼티코리아 이사는 "올해도 대부분 거래가 환금성이 뛰어난 강남에 몰릴 것"이라며 "매각을 원하는 상당수 매물이 지난해 소화됐기 때문에 매물이 부족하고 가격이 더욱 오르는 등 매도자 우위 경향이 더욱 강화될 수 있다"고 말했다. 강남과 연결되는 지하철 노선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개통되려면 몇 년 더 기다려야 하지만 건물에는 가격이 먼저 반영될 가능성이 높아서다. 이동현 KEB하나은행 부동산센터장은 "위례신도시~신사 경전철과 지하철 9호선 3·4단계, 신분당선 연장선 일대를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중소형 빌딩 시장 여건은 녹록지 않다. 지난해 투자 수요가 크게 몰리면서 지하철 9호선 봉은사역 사거리 대로변 건물 매매가는 2012년 3.3㎡당 7000만~8000만원대였지만 지난해 1억~1억3000만원대로 두 배 가까이 뛰었다. 중소형 빌딩 투자수익률은 2012
이 때문에 중소형 빌딩 투자 성패를 좌우하는 빌딩 관리도 주목받을 전망이다. 임채우 KB국민은행 부동산전문위원은 "엘리베이터와 주차장 설치 등 건물 내외부를 리모델링하고 적정한 임대료를 책정해 임차인이 오랫동안 있고 싶어하는 건물로 만들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임영신 기자 / 이윤식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