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부산 도시재생선도지역 위치도 [출처: 국토부] |
국토교통부는 도시재생특별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3개 도시재생 선도지역의 ‘도시재생활성화계획 수립 및 변경’을 완료했다고 14일 밝혔다.
이에 따라 국토부는 2017년까지 3개 지역에 마중물사업비 1126억원(지방비 50% 포함)을 지원하고, 문화부를 비롯한 11개 관계부처도 19개 사업에 1412억원을 부처협업사업비로 지원할 예정이다. 22개 사업에 712억원 규모의 지자체사업도 함께 추진된다.
부산 선도사업은 부산항 기능 이전 등으로 공동화되고 있는 부산역과 북항 재개발지역 일대 3.12㎢를 대상으로, 38개 5952억원 규모의 사업(북항환승센터 건립사업, 창조경제플랫폼사업)을 추진한다.
북항환승센터 건립사업은 부산항만공사 소유 부지에 민간자금(추정 사업비 3000억원)을 유치해 교통환승·상업·업무시설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창조경제플랫폼사업은 부산역 광장을 전반적으로 재구축하는 사업이다.
청주 선도사업은 2년마다 ‘국제공예비엔날레’가 개최되는 청주시 소유의 옛 연초제조창 일대 1.36㎢를 대상으로 3114억원 규모의 14개 사업을 통해 문화업무 중심지로 탈바꿈하는 사업이다. 이를 위해 주변도로 확장, 문화업무시설 건립 등 5개 500억원 규모의 마중물사업과 문화부의 국립현대미술관 청주관 건립사업 등 6개 896억원의 부처협업사업으로 추진한다.
특히 옛 연초제조창을 복합문화레저시설과 비즈니스센터·호텔로 리모델링하는 부지·건물 소유자인 청주시의 현물출자, 주택도시기금의 출자·융자를 통해 민간투자사업으로 진행한다.
천안 선도사업은 신도심 개발로 인해 점차 쇠퇴하는 동남구 천안역 일원 0.2㎢를 대상으로 추진하며, 2702억원이 투입된다.
이에 따라 현재 동남구청 부지에 주택도시기금의 출자·융자 등을 통해 복합시설(청사, 어린이회관, 지식산업센터)을 건립하는 민간투자사업이 가능하게 됐다. 문화부의 ‘문화특화지역 조성사업’ 등 활성화계획이 지난해 12월 최초 수립된 이후에 확정된 3개의 부처협업사업도 계획에 반영됐다.
국토부 관계자는 “3개 지역의 도시재생활성화계
[매경닷컴 조성신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