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후 전국 아파트의 매매 및 전세 시장 경기가 하락할 것으로 보는 현장 경기 지표가 발표됐다. 특히 이달 들어 하락전망치의 폭이 크게 나타났다.
27일 KB국민은행이 발표한 11월 KB부동산 전망지수는 전국 기준 지난달(114.7)보다 15.0포인트 하락한 99.7를 기록했다. 이 전망지수가 100이하로 하락한 것은 2014년 7월(99.6)이후 16개월 만에 처음이다.
![]() |
↑ KB부동산 전망지수 [자료 KB국민은행] |
지역별로 서울은 지난달(122.7)대비 19.3포인트 하락한 103.4으로 나타났으며, 수도권도 지난달(122.1)대비 18.9포인트 떨어진 103.2로 조사됐다. 인천을 제외한 지방 5개 광역시의 경우 지난달(110.9)에서 이달 95.9로 하락해 100을 넘지 못했다.
특히 대구지역은 지난달(115.1)대비 36.0포인트나 떨어진 79.1로 나타나 하락폭이 컸다. 이는 KB국민은행이 관련 통계를 작성한 2013년 4월 이후 2년 7개월만에 최저치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올해 들어 대구지역 아파트 매매가격은 11.14% 상승하며 타 지방광역시 상승률의 약 2배 수준”이라며 “그러나 현장에서는 입주물량 과다로 인한 일시 공급 과잉과 함께 과열됐던 매수세가 점차 둔화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전국 아파트 매매가는 지속적으로 상승세다. 우선 대구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2009년도 -1.28% 하락한 이후로 6년 연속 상승하며 누적 상승률 68.11%를 기록, 5개광역시 평균인 53.05%보다 15.06%포인트 높게 나타나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다.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2014년 7월 이후 16개월 연속 상승 중이다. 전월 대비로는 0.68%, 올해 들어서는 5.23% 상승했다. 지역별로는 강남이 5.66% 상승하며 강북의 상승률(4.71%)을 웃돌았다.
특히 재건축 붐이 불고 있는 강남구(6.60%), 서초구(6.02%), 강동구(5.76%) 등이 상승세를 주도하고 있으며 가격도 꾸준히 오르고 상승폭도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동구의 경우 2008년 이후 약 7년 동안의 누적 상승률이 9.06%로 조사되며 강남지역 평균인 1.35%보다 7.71%포인트 높은 상승세를 보였다. 같은 기간 서초구는 8.13%, 강남구는 5.05% 상승하며 뒤를 이었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최근 재건
[매경닷컴 이미연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