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진 원장은 지난 13일 기자간담회에서 "시중은행장들도 성과주의 확산에 대한 필요성을 모두 공감하고 있다"며 "다만 (은행별) 특성이나 노조의 반발 등 어려운 점이 있다"고 밝혔다.
은행권 평균 연봉은 다른 산업보다 높지만 호봉제를 기초로 하고 있어 성과나 실적에 연계되는 부분이 적다는 비판이 많았다. 이에 따라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최근 금융개혁의 일환으로 금융권에 성과주의를 확산시키겠다는 의지를 천명한 바 있다.
진 원장은 "금융사 지배구조 모범규준에 이미 성과주의와 관련한 내용이 마련돼 있다"며 "금융위와 함께 금융개혁회의를 통해 논의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은행장과의 간담회에서 관련 논의를 했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해 금융당국은 산업·기업은행 등 정책금융기관에서 성과주의 모범사례를 만들어 시중은행들로 확산되도록 유도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산업은행은 이미 지난달부터 일부 직군의 직무 분석 등을 통해 임금체계를 개편하는 방안에 착수했다. 진 원장은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기업 구조조정과 관련해 "(다음달까지 진행하는) 대기업 수시신용평가를 (중소기업 신용평가처럼) 강화된 기준으로 하겠다"며 "(지난 7월 정기 대기업 신용평가에서) B등급(요주의)을 받은 기업을 포함해 300여 개를 살펴보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대기업 구조조정은 관심이 많고 파장이 커서 조심스럽다"면서도 "내년 총선과는
[김규식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