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시장 본부를 서울 거래소로 명명하라.”
현재 서울 여의도 소재 한국거래소의 한 사업본부인 ‘코스피시장본부’를 ‘서울거래소’로 이름을 바꾸고 거래소의 경쟁력과 브랜드를 높일 필요가 있는 주장이 제기됐다. 내년부터 여의도와 영등포가 핀테크 특구로 지정되는 것을 골자로 한 서울시 금융허브 육성 청사진도 나왔다.
9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서울시가 주최하고 매일경제신문과 금융감독원이 주관한 ‘2015 서울국제금융컨퍼런스’에서 연강흠 연세대학교 경영학과 교수는 “전세계 주요 증권거래소는 해당 국가 금융중심도시에 위치해 있다”며 “한국도 현 코스피시장본부를 서울거래소(Seoul Exchange)로 명명하고 코스닥시장 본부는 신시장에서 코스닥 브랜드 가치 유지를 위해 코스닥거래소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뉴욕증권거래소(NYSE), 런던증권거래소(LSE), 상하이증권거래소(SSE) 등 주요 국가들이 금융도시 이름을 따서 거래소 이름을 정하듯 서울거래소를 만들어 금융도시로서의 서울 브랜드를 높이고 집중 육성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날 박원순 서울시장도 “지방분권이 필요하지만 금융이나 항만은 집중할 필요가 있다. 한국은 현재 금융이 다 분산돼 있어 어느것 하나 제대로 안되고 있다”며 서울 중심의 금융도시 육성을 우회적으로 강조했다.
행사에 참석한 정치인들 역시 한 목소리를 냈다. 신경민 새정치민주연합 국회의원은 “금융은 정치적 논리가 아닌 금융적 사고로 접근해야 한다”며 “서울과 부산이 합리적이지 않는 것으로 싸우는 것은 맞지 않다”고 밝혔다. 김기식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서울은 인프라와 인재 등 금융도시로 발전하기 위한 모든 요소를 갖췄다”고 말했다.
이 같은 주장에 부산시는 강력히 반발하면서 금융허브를 둘러싼 두 도시간 마찰이 커지는 모습이다. 김
[서울 = 박준형 기자 / 부산 = 박동민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