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필리핀 지열발전 현장 위치도(자료제공=현대엔지니어링) |
현대엔지니어링은 16일 필리핀 신재생에너지 발전회사 퍼스트젠코퍼레이션 산하 회사 EDC와 7400만달러 규모 지열발전소 건설을 위한 EPC(설계·구매·시공 및 시운전) 계약을 전날 체결했다고 밝혔다. 필리핀 마닐라 현지에서 열린 계약식에는 리차드 탄토코 EDC 사장과 현대엔지니어링 전력플랜트 사업본부 하종현 상무 등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이번 프로젝트는 필리핀 루존섬, 소르소곤주에 위치한 바콘마니토 지열발전단지에 31MW급 지열발전소 4호기를 건설하는 것으로, 공사기간은 착공 후 25개월이다. 국내 건설·엔지니어링 업체 중 유일하게 해외 지열발전소 준공 실적이 있는 현대엔지니어링은 지열발전 분야의 기술력과 사업수행 경험 덕에 수주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현대엔지니어링은 이번 수주를 교두부로 삼아 동남아 지열발전소 수주에 다시 박차를 가한다는 전략이다. 이 회사는 1990년대 인도네시아 다라자트 지열발전소를 준공하고 지난해 10월 케냐에서 단일 지열발전 용량으로는 세계 최대인 올카리아 지열발전소 신·증설 공사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필리핀은 현재 가동 중인 지열발전 용량이 1925MW로 미국에 이은 세계 2위국가로 앞으로 지열발전 확대가 기대된다. 발주처인 EDC도 필리핀 전체 지열발전량의 62%(1169MW)를 생산하는 필리핀 최대 지열발전사로 현대엔지니어링은 고품질 및 공기내 완공을 통해 추가 수주는 물론, 동남아 지열발전 시장에서 입지를 강화할 계획이다.
현대엔지니어링 전력플랜트 사업본부 영업실 박준성 상무는 “회사의 미래성장동력사업 중 하나인 신재생에너지 시장 공략에 성공한 프로젝트로 의미가 크다”며 “이번 수주를 기반으로 동남아 신재생에너지 시장에 적극 진출하겠다”고 밝혔다.
땅의 열을 활용한 지열발전은 지하 고온층에서 발생하는 증기나 열수(熱水)를 이용해 전력을 생산하는 방식이다. 지대와 발전 방식에 따라 수백~수천 m 깊이의 우물을 판 후에 고온의 지하 증기를 직접 이용하거나 뽑아 올린 열수에서 발생한 증기를 이용해 터빈을 회전시켜 발전하는 원리로 가동된다.
기상상황 등에 따라 변수가 많은 태양열발전과 풍력발전에 비해 지열발전은 끊임없이 발
[이한나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