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기금들이 수익률 향상을 위해 해외 대체 투자의 비중을 늘려가면서 관련 조직도 함께 강화되는 추세다.
최근 유상수 행정공제회 이사장은 기자간담회에서 "해외 투자 및 대체 투자 확대는 선택이 아닌 필수로 해외 투자를 전문으로 담당하는 조직을 갖출 계획"이라고 밝혔다. 2017년 자산 10조원 시대를 여는 행정공제회가 그에 걸맞은 해외 투자 조직을 갖추지 못하고 있다는 판단 때문이다. 현재는 기업투자팀, 금융투자팀, 주식팀 등에서 각각 해외 투자도 함께 담당하고 있다. 행정공제회의 개편안은 해외 투자를 담당하는 별도 부서를 이미 구성한 타 연기금에 비해 다소 늦은 조치다. 국민연금은 2007년 해외투자실을 신설하고 2008년에는 해외투자실 산하에 해외증권팀과 해외대체투자팀을 만들어 국외 투자 조직과 역량을 강화했다.
이후 해외 투자 규모가 크게 증가하면서 2011년 해외투자실을 해외증권실과 해외대체실로 분리해 현재까지 운영 중이다. 당시 해외 투자 거점을 마련한다는 의미에서 뉴욕 사무소를 신설하기도 했다.
또 공무원연금은 지난해 2월 해외투자팀을 신설해 2019년 말까지 국외 투자 비중을 19%(2013년 4.3%)까지 늘린다는 계획을 발표했고, 같은 해 4월 한국교직원공제회도 해외투자부를 새로 만들었다.
사립학교교직원연금공단(사학연금)은 지난해 9월 신설한 해외투자팀을 올해 해외투자 1팀과 2팀으로 분리해 2팀이 해외대체투자 부문을 전담하도록 확대 개편했다.
지난해 해외투자팀을 만든 군인공제회는 지난 6월 한국투자공사(KIC)와 글로벌 투자 기회 공유 및 공동투자 참여를 위한 업
이런 흐름에 대해 한 연기금 관계자는 "저성장·저금리 시대에 국내 주식 및 채권 중심으로 수익률을 더 높이는 것은 한계에 봉착했다"며 "향후 투자 방향의 중심이 해외 투자, 특히 대체 투자 분야에 집중되면서 관련 조직들의 역할과 위상은 갈수록 강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채종원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