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증금 규모별로는 △3억원 이상 24% △2억~3억원 미만 17% △1억~2억원 미만 29% △5000만원 미만 8% △5000만~1억원 미만 22%로 집계됐다. 전국적으로도 3억원 이상 고가 전세 비중이 12%로 껑충 뛰었다.
지역별로는 3억원 이상 고가 전세 93%가 서울, 경기도에 집중됐다.
박미선 국토연구원 미래전략전담반장은 "올 상반기 서울에서 거래된 전세 주택의 24%가 3억원 이상이라는 의미는 고액 전세의 문제가 더 이상 강남 등 일부 부유층에 국한된 게 아니란 얘기"라며 "주거의 질적·양적 측면이 모두 악화되면서 고가 전세가 사회적 문제로 비화될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고액 전세가 크게 늘어난 반면 전세보증금 1억원 미만의 저렴한 임대주택 거래는 크게 줄었다. 중산층과 서민들의 주거비 부담이 급격하게 악화되고 있다는 얘기다. 2년 전만 해도 전세금 1억원 미만 주택 거래 비중이 37%에 달했지만 올 상반기 기준으로는 30%로 줄어들었다.
전세물량이 감소하고 월세 거래가 늘면서 올 상반기 월세 거래 비중은 43.4%로 늘었다. 하지만 월세시장에서 보증금 규모가 계속 상승하는 것도 주목되는 현상이다.
전체 월세 거래 가운데 보증금 1억원 이상인 월세 비중이 서울에서는 18%에 달했다. 경기지역에서도 1억원 이상 월세보증금 비중이 12%로 높았다. 박미선 전담반장은 "임대차계약이 보통 2년 주기로 이뤄진다는 점을 감안하면 계약 만료 이후 신규 계약 시점에서의 임차가구의 보증금 상승 체감도는 매우 심각하다"며 "특히 보증금 마련이 어려운 젊은 층의 주거 불만이 높아지고 있어 정부 차원의 대책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올해 기준 도시근로자(4인 가족 기준) 월평균 소득은 473만원 선으로, 이 정도면 소득 상위 20% 선에 해당한다. 한마디로 서울 전세 거래량의 24%가 3억원대가 넘었다는 것은 평균적인 도시 근로자들이 거주할 수 있는 전세나 보증부월세, 그리고 월세의 가격 기준이 3억원대가 됐다는 얘기다. 정상적으로 근로자가 한 푼도 안 쓰고 돈을 모은다고 해
박합수 KB국민은행 명동스타PB센터 팀장은 "생애최초대출 금리를 낮춰서 집 걱정을 덜어줘야 한다"며 "뉴스테이와 행복주택 등 정부 주도의 임대주택 공급도 보다 체계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진단했다.
[이근우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