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의상 순수월세와 보증부월세(반전세)로 구분됐던 월세가 앞으로 보증금 크기에 따라 순수월세, 준월세, 준전세 등 세 가지로 나뉜다. ‘월세시대’가 본격화하는 것에 대비한 대대적 통계 정비로 매달 세 유형별 월세지수가 발표되면 전월세전환율(전세금 일부를 덜 받는 대신 더 받는 월세 비율)과 함께 월세 소비자들에게 적잖은 도움이 될 전망이다.
국토교통부와 한국감정원은 12일 월세가격동향조사 표본 수를 3000가구에서 2만5260가구로 8배 이상 확대하고 보증금과 월세 비중에 따라 월세, 준월세, 준전세로 구분한 월세지수를 발표했다. 또 전체 시장 파악을 위해 3개 월세지수를 가중평균한 통합월세지수도 도입했다.
새 통계 기준에 따르면 보증금이 1년치 월세보다 적으면 ‘(순수)월세’로 분류된다. 보증금은 적고 월세 부담은 큰 경우로 지난해 전체 월세 거래 중 12.3%를 차지했다. 반면 보증금이 20년치 월세보다 많으면 전세에 가까운 ‘준전세’로 구분된다. 전세금보다 보증금 비율이 60%가 넘는 경우로 지난
이 기준에 따라 계산한 7월 월세와 준월세지수는 각각 0.08%와 0.01% 내렸고 준전세는 0.21%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월세통합지수는 0.03% 상승했다.
[문지웅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