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등 기대감에 연초 이후 1조원이 몰렸던 원자재펀드가 수익률 부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미국 달러 강세와 중국의 경제 성장 둔화 우려가 원유, 금, 비철금속, 농산물 등 국제 원자재 가격 반등을 억제하는 모습이다. 전문가들은 당분간 달러 강세 기조가 이어질 전망이라 원자재펀드 투자에 신중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3일 펀드평가사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연초 이후 국내 설정된 원자재펀드(설정액 10억원 이상, 54개)에 유입된 자금은 모두 5088억원으로 설정액 1조5000억원을 넘어섰다. 지난 3년간 원자재 가격이 전반적으로 하락하면서 자금 유출이 이어졌으나 올해 들어 순유입세로 전환한 것. 천연자원펀드 역시 올해 4644억원이 몰리며 설정액 1조원을 돌파했고 금펀드와 농산물펀드도 순유입세가 나타나고 있다. 지난해 말 원유를 비롯한 국제 원자재 가격이 저점에 도달하자 매수세가 이어진 셈이다.
그러나 수익률은 투자자들의 기대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원자재펀드와 천연자원펀드의 올해 평균수익률은 각각 0.12%와 0.06%에 불과하며 농산물펀드는 -10.98%로 손실구간을 헤어나오지 못하고 있다. 올 하반기로 예정된 미국의 금리인상에 따른 달러 강세 우려가 실물경기를 반영하는 원자재 가격 하락 압력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원유 관련 펀드의 경우 서부텍사스산 원유(WTI)가 배럴당 50달러를 밑돌면서 원유 관련 펀드인 ‘미래에셋TIGER원유선물상장지수펀드(ETF)’, ‘삼성WTI원유특별자산’에만 2000억원 가량이 유입됐지만 이후 유가가 추가 하락하며 해당 펀드들의 수익률은 -2~3%에 머물고 있다. 다른 원자재 펀드들도 비슷한 흐름이다. 지난 2012년 10월 온스당 1790달러에 육박했던 국제 금값이 지난해 말 1170달러까지 떨어지면서 연초부터 금펀드에 300억원이 유입됐지만 평균수익률은 0.48%에 불과하다. 이밖에도 구리, 은, 아연 등 비철금속 가격이 저점에서 하방경직성을 띠고 있어 CRB, MKF 등 원자재(commodity) 지수나 상품을 추종하는 펀드 수익률도 저조하다.
전문가들은 당분간 원자재 가격이 크게 반등할 가능성이 높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강유진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유가는 단기적으로 미국 원유 생산 및 재고 감소, 경기 부양 의지에 따른 수요 강세로 상승 여력이 있지만 OPEC 산유 쿼터량 동
[이용건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