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기업형 임대주택 '뉴스테이' 사업지로 인천 도화지구에 이어 서울 중구 신당동 도로교통공사 이전 용지를 낙점했지만 시행사 역할을 하는 하나자산신탁과 주요 출자자인 국토교통부 사이의 이견 탓에 사업이 난항을 겪고 있다.
12일 국토교통부 및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국토부는 하나자산신탁이 세운 신당동 뉴스테이 사업계획이 당초 사업 취지와는 맞지 않다는 판단에 이 사업에 대한 주택기금 출자를 주저하고 있다. 하나자산신탁이 시공사 모집을 위해 주요 건설사들에 전달한 사업제안서에는 도로공사 용지 매입을 포함한 전체 사업비 가운데 70%를 주택기금 출자로 해결한다는 내용이 담겨 있는 것을 감안하면 주택기금 출자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사업 자체가 제대로 진행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국토부가 지적한 부분은 하나자산신탁이 짓기로 한 뉴스테이 규모가 모두 1~2인 가구를 위한 '원룸' 수준이라는 점이다. 하나자산신탁은 도로교통공단 용지 1만2916㎡를 매입해 총 800여 가구의 뉴스테이를 선보일 계획인데, 모두 전용면적 20~59㎡의 소형으로 구성할 예정이다. 도심지인 만큼 솔로족이나 신혼부부 등 1~2인 가구의 임대수요가 많을 것으로 판단했기 때문이다.
문제는 이렇게 되면 당초 국토부가 뉴스테이 정책을 발표하며 주장한 '중산층을 위한 고품질 임대주택'과는 거리가 멀어진다는 것. 국토부 관계자는 "최소 투룸이나 스리룸 정도 규모는 나와야 자녀를 둔 중산층 가족이 거주할 수 있지 않겠느냐"며 "단순히 공급량을 늘리는 것뿐 아니라 당초 콘셉트에 맞는 모델이 나오는 게 더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이 때문에 국토부는 면적을 계획보다 확대하지 않으면 주택기금 출자가 힘들다는 입장을 하나자산신탁 측에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나자산신탁 측은 "국토부와 함께 절충안을 찾고 있다"면서도 수익성 면에서 면적을 늘리는 것에는 다소 난색을 표하고 있다. 면적을 늘리면 그만큼 주택 수를 줄여야 하는데 그러면 사업 수익률이 떨어지는 것을 피할 수 없어서다. 한 임대사업 시행사 관계자는 "중소형 아파트 임대사업을 펼쳐 제대로 임대수익을 올리기에는 쉽지 않은 지역"이라고 지적했다.
다만 신당동 뉴스테이 사업에는 주택자금의 존재가 필수적인 만큼 업계에서는
사업 추진을 위해 설립할 리츠 출자 비용의 대부분을 주택기금으로 충당하는 데다 사업 시공사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할 계획인 상황에서 기금출자를 빨리 확정짓지 않는다면 사업 동력을 잃어버리게 되기 때문이다.
[김태성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