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이 친환경 신교통시스템으로 처음 개발한 ‘바이모달 트램’이 여수엑스포역에 들어서고 있는 모습. 사진 철도기술연구원 제공.(사진은 본 기사와 관계없음) |
노면전차는 일반도로에 설치된 선로를 따라 운행하는 노면전차로, 전급성은 좋지만 교통혼잡을 야기한다는 단점이 있다.
대전시는 지난 2002년 기본계획 수립 후 2012년 ‘고가 자기부상열차’로 2호선을 건설키로 하고 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 지난 4월 최종 확정했다. 하지만 3개월 후 신임 시장이 ‘노면전차’ 방식을 선거공약으로 내놓으면서 기존 계획을 백지화했다.
이에 대해 권선택 대전시장은 “장애인 등 교통약자에 대한 배려와 친환경·첨단 도시로서의 이미지 제고를 위해 전국 도시 가운데 처음으로 트램을 기간교통망으로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시민단체들의 일단 권 시장의 ‘노면전차’ 방식 결정을 환영했다. 또 대전지역 5개 구청장들도 지난 5일 지지의사를 표명했다.
도시철도 2호선 시민연대는 “시의 결정을 환영한다. 도시철도 2호선이 교통약자와 대중교통 소외지역 문제를 풀어내 시민의 발이 돼야한다”고 노면전차방식 건설을 지지했다.
한편, 일부 시민들은 일관성 없는 시 정책 결정을 비난했다. 이들은 노면전차는 대전 교통환경에는 적합지 않아 “교통 혼잡이 불 보듯 뻔하다”며 우려의 목소리를 높였다.
한 시민은 “대전지역이 대부분 왕복 4차로인데 트램 건설과 운행 과정에서 2개 차로를 잠식할 수밖에 없어 교통 혼잡이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일부 전문가들 역시 “신호등을 비롯해 지역의 교통체계를 전면 재수정해야 하고, 지역의 ‘교통대란’은 불가피할 것”이라고 반대의견의 내놨다.
한편, 대전시가 2호선 건설방식을 노면전차로 변경하면서 향후 예비타당성조사 재신청 문제가 핵심 쟁점으로 부각될 전망이다.
대전시는 노선을 그대로 유지하므로 재조사를 하지 않아도 될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시는 건설비 감소(고가방식에 비해 30~40% 저렴)를 강조하면서 노선을 20% 이상 바꾸거나 수요가 30% 이상 감소할 경우 예비타당성 재조사를 받아야 하지만 노선은 유지하고 건설방식만 변경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럴 필요가 없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국토교통부는 “기재부와 협의가 필요한 사안이고, 사업계획을 보고 판단할 사안”이라며, 예비타당성 재조사를 고려하고 있음을 시사했다.
[매경닷컴 조성신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