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기사는 11월 14일(17:04) '레이더M'에 보도 된 기사입니다]
레이더M 기사 더보기>>>
"기후금융을 통해 글로벌 온실가스 감축을 시장 원리로 구현할 수 있습니다. 한국이 선도적인 역할을 해야 합니다"
14일 숀 키드니 기후채권이니셔티브 대표는 인천 송도에서 열린 기후금융 국제세미나에 참석해 "지금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전 세계 국가들이 행동에 나서지 않으면 앞으로 지구는 생명이 살기 어려운 환경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친환경 에너지 기술개발이나 친환경 인프라 건설 등에 사용할 목적으로 발행될 채권을 민간이 적극 발행할 수 있도록 한국 정부가 가교 역할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기후채권이니셔티브(Climate Bonds Initiative)는 금융시장을 활용해 온실가스 감축 등 기후변화 해결책 모색에 앞장서는 국제 비영리법인이다. 주로 글로벌 채권시장에 투자하는 투자자들이 수익을 가져가면서 친환경에너지에 투자할 수 있는 '기후채권'을 주로 연구한다.
현재 기후채권은 주로 각국 정부 출연금 위주다. 민간 영역에서는 투자상품으로서 기후채권 시장 규모는 매우 작다.
기후채권 발행량은 5026억달러(552조원)다. 키드니 대표는 글로벌 채권시장에서 88조달러 규모 자금이 민간 금융기관에 예치된 상태로 잠자고 있는데, 이들 유휴 민간 자금들이 온실가스 감축 투자자금으로 활용될 수 있는 길을 터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키드니 대표는 한 번 기후채권 발행이 활성화되면, 이를 토대로 2차 금융상품이 개발돼 관련 시장이 급속히 커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특히 이머징 마켓 친환경 인프라 개발 등에 활용되는 채권은 고수익 채권으로 구조를 만들 수 있다"며 "수익을 보고 투자에 나서는 투자자가 많으면 투자자금은 풍성해지고 친환경 개발속도는 빨라지는 선순환을 통해 온실가스 감축 효과를 단시간에 이뤄낼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그는 초기 기후채권이 자리를 잡는 데는 정부 역할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온실가스 감축 필요성에는 동의하지만 투자자들에 기후채권은 생소한 투자상품이기 때문에 초기에 정부 지급보증 등 신용보강이 필요하다는 게 키드니 대표의 시각이다.
키드니 대표는 한국 정부와 기업이 기후채권을 통한 온실가스 감축에 주도적인 역할을 해줄 것을 당부했다.
그는 "친환경 건설 등 인프라 관련 전문 기술력으로는 한국 기업을 따라올 만한 곳이 많이 없다"며 "한국 내 기술력이 뛰어난 기업들이 기후채권을 발행을 통해 개발도상국 친환경 에너지 개발사업에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날 기후금융국제세미나는 글로벌국제기후기금(GCF) 사무국이 위치한 송도 G-타워에서 진행됐다. 지난 2012년 10월 22일 제2차 GCF 이사회에서 송도국제도시 사무국을 두기로 결정하면서 송도는 국제기후금융 중심지로 떠올랐다.
GCF은 지난 2010년 12월 멕시코 칸쿤에서 열린 유엔 기후변화 협약(UNFCCC) 총회를 통해 설립됐다. 개발도상국들이 친환경 에너지(그린에너지) 를 활용해 개발 단계를 거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기금이다. 앞서 온실가스를 배출시키면서 경제발전을 이룩한 선진국들이 이제 온실가스를 줄이기에 협조해 달라는 요구가 개발도상국에게는 쉽게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UN 기후변화 협약 총회에서는 회원국들이 기금을 설립해 개발도상국들이 온실가스를 최대한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경제개발에 나설 수 있도록 돕자는 아이디어를 냈다. 이 아이디어가 GCF모태다.
GCF는 기금을 개발도상국에 투자해 화력발전소 보다는 친환경발전소를 건설해 온실가스를 줄일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한다.
GCF는 2010년부터 2012년까지 300억달러의 재원을 모았고, 2020년부터는 선진국들이 매년 1000억달러씩 기금을 출연한다는 계획이 마련돼 있다.
[서태욱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