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영업에 뛰어들기 위해 대출을 받는 베이비부머 세대가 늘면서 가계부채 부실화가 우려된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은행은 30일 국회에 제출한 '금융안정보고서'에서 "향후 은퇴 연령층의 은행 주택담보대출 규모가 추가로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50대 및 60대 이상 연령층을 중심으로 주택담보대출이 확대돼 왔다.
전체 금융권 주택담보대출에서 50대와 60대 이상 차주의 비중은 2009년 말 각각 26.9%, 15.1%에서 2014년 3월 말 현재 31.0%, 19.7%로 증가했다. 대출자 10명 중 5명이 50대 이상인 셈이다.
최근 베이비부머 세대의 은퇴가 본격화되면서 자영업에 진출하기 위한 사업자금 등의 수요가 커진 것으로 분석된다.
문제는 이들의 소득 증가율 등을 고려했을 때 빚을 갚을 능력이 떨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실제로 주택담보대출자 중 50대 및 60세 이상의 소득 증가율은 50세 미만과 달리 2010년 이후 대부분 주택담보대출 증가율을 밑돌고 있다.
이에 따라 전체 금융채무불이행자 중 50세 이상이 차지하는 비중도 빠르게 늘고 있다.
게다가 지난 8월 정부가 '주택담보대
한은은 "은퇴 연령층의 자영업 진출이 느는 것과 맞물려 LTV.DTI 규제 완화가 은행 주택담보대출을 확대시킬 수 있다"며 "은행의 위험 관리를 통해 지속적으로 유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현정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