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통화기금(IMF)에서 발표하는 PPP(구매력평가) 기준의 국내총생산(GDP) 비중을 보면 중국은 2014년 16%에서 2019년 18.5%로 증가한 반면 미국은 2014년 19.2%에서 2019년 18.2%로 감소했다.
하지만 아직 중국은 강대국이지 선진국은 아니다. 중국의 GDP는 세계 2위지만 1인당 GDP는 87위(2014년 달러 기준)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빈부격차는 여전히 중국의 불확실성을 키울 수 있는 뇌관이다. 중국의 정책 방향이 질적 성장에 맞춰진 이유가 여기에 있다. 중국이 생산보다 소비 중심의 사회로 전진하기 위한 교두보는 도시화이다. 중국의 경제정책을 이끌어가는 리커창 총리의 석ㆍ박사 논문 주제가 바로 농촌의 공업화와 도시화였음을 기억하자. 중국의 도시인구 증가세는 이미 가파르다. 1980년 도시인구(1억9000만명)가 농촌인구(7억9000만명)에 비해 크게 적었지만, 2013년에는 도시인구(7억3000만명)가 농촌인구(6억3000만명)를 넘어 빠른 도시화가 진척되고 있다.
여기에 도시화에 따른 소비패턴의 변화도 눈여겨봐야 한다. 1980년 중국의 엥겔지수가 도시지역 56.9%, 농촌지역 61.8%였던 반면 2012년에는 각각 36.2%, 39.3%로 빠르게 감소하고 있다. 엥겔지수 감소와 함께 의식주에 대한 소비 비중 감소는 중국의 중산층이 점점 더 단단해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중산층 기반의 소비 성장이 우리가 생각하는 중국의 미래이다. 당연히 중국 관련주의 포트폴리오도 변해야 했고, 이미 변해 왔다, 금융위기 이전의 중국 포
[윤지호 이트레이드증권 리서치센터장]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