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년부터 매년 1만가구의 임대수요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올해 상반기 서울시의 임대주택 공급량이 계획의 1/10에 그쳐 올 하반기 전세난이 가중될 것으로 예상된다. |
리얼투데이가 통계청의 추계인구 변화, 소득변화, 가격변화 등을 이용해 *'수정 M-W모형 계산법'으로 임대수요를 예측한 결과, 오는 2025년까지 매년 1만 가구 이상의 임대수요가 발생할 것으로 추정된다.
때문에 정부가 임대아파트를 꾸준히 공급하지 않으면 전세난은 더욱 가중될 것으로 예측된다.
* M-W모형(Mankiw-Weil 1989)은 미래의 인구증감에 따른 도시의 주택수요면적을 예측하는 학술적 방법으로, 기존 M-W모형에 소득기준과 주거비용 등의 변수를 적용해 주택수요를 예측하는 것이 수정 M-W모형이다.
수정 M-W모형을 통해 서울의 임대수요를 예측해 보면 오는 2015년부터 2025년까지 총 17만8657가구가 필요하다.
연대별 임대수요는 2015년 1만6871가구, 2016년 1만6663가구, 2017년 1만6964가구, 2018년 1만6969가구, 2019년 1만 6930가구, 2020년1만6796가구, 2021년 1만6665가구, 2022년 1만6596가구, 2023년 1만5501가구, 2024년 1만4756가구, 2025년 1만3946가구이다.
↑ 서울시 임대수요 누적 추정치 및 임대주택 공급가구 [출처: 리얼투데이] |
한편, 서울시의 2020계획을 보면 오는 2020년까지 36만4000가구의 임대주택 공급이 계획됐다.
올해 1만5000가구를 시작으로, 2015년 2만9000가구, 2016년 3만2000가구, 2017년 2만8000가구, 2018년 2만7000가구, 2019년 1만2000가구, 2020년 1만2000가구 등 6년간 총 14만여 가구를 공급할 계획이다.
서울시의 공급계획만 보면 문제가 없다.
서울시는 올해 1만5000여 가구를 공급한다고 계획했다. 하지만 상반기(1월~6월)에 서울에서 공급된 공공임대아파트는 1854가구가 전부다. 나머지 1만3000여 가구를 하반기에 공급해야 한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2020계획은 말 그대로 단순 계획에 불과하다”며 “매년 시의 재정 상태와 임대주택 수요량이 다르기 때문에 계획과 실행에는 차이가 나타날 수 있지만 올해는 차이가 너무 크다. 결국 정확한 수요예측 없는 계획은 그저 탁상공론에 지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 같은 괴리는 전세시장에 고스란히 반영되고 있다. 전셋값 상승이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현재 서울시 3.3㎡당 아파트의 평균 전셋값은 293만원으로 지난해 12월 281만원보다 4.27% 가량 올랐다. 84㎡의 아파트로 환산할 경우 3.3㎡당 1008만원이 오른 셈이다.
상황이 이렇자 지금의 전셋값 상승은 주택 매수세 하락과 함께 관공서의 부정확한 수요예측과 공급계획도 한 몫을 한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서울의 전세난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시가 계획한대로 임대아파트 공급을 늘릴 필요가 있다. 다가오는 가을 이사철, 전세집을 구하지 못해 발만 동동 구르는 서민들의 원성을 듣고 싶지 않다면 말이다.
[매경닷컴 조성신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