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정책변화에 수출 ''발목''…’소비재 수출 확대’
최근 대(對) 중국 수출 실적이 악화한 것은 가공무역을 위주로 한 우리의 수출 전략이 중국의 정책 변화에 부응하지 못했기 때문이 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8일 한국무역협회 등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의 중국 수출에서 가공무역이 차지하는 비중은 47.6%에 달했습니다.
현지 진출 기업이 전자부품이나 섬유류 등 국내에서 보낸 중간재를 비교적 간단하게 가공해 타국으로 다시 수출하는 가공무역 분야에 대중 수출의 절반 가까이가 의존하고 있는 셈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중국 정부가 가공무역품에 대한 관세혜택 등을 줄이고 내수 확대 중심의 경제정책을 펴면서 우리나라의 수출 전선이 흔들린다는 목소리가 제기됩니다.
지난달 대중 수출액은 113억1천만 달러로, 작년 같은 달보다 9.4% 줄었습니다. 지난해 2월 이후 대중 수출이 처음 하락세를 보이면서 당국은 긴장하고 있습니다.
물론 수출 악화가 일시적 현상일 수 있다는 관측도 있지만 정부 안팎에선 가공무역 비중이 과도한 우리의 수출 구조를 발빠르게 변모시켜야 한다는 의견이 많습니다.
실제로 가공무역 비중이 적은 선진국들은 중국의 정책 변화 속에서도 양호한 수출 실적을 내고 있습니다.
올해 1∼4월 우리나라의 대중 수출이 1.7% 증가하는 데 그친 반면 미국은 10.5%, 유럽연합(EU)은 16.1%나 수출액이 뛰었습니다. 미국의 경우 대중 수출에서 가공무역의 비중은 14.5%에 그쳤습니다.
올해 1∼4월 대중 수출 증가율 2.9%를 기록한 일본도 가공무역 비중이 34.6%로 우리나라보다 낮습니다.
중국의 총 수입에서 가공무역 관련 수입 비중은 2007년 38.9%를 차지했지만 지난해에는 25.5%까지 내려갔습니다. 수입 시장에 변화가 불고 있는데도 우리의 수출 구조는 평균치를 훌쩍 넘는 가공무역 의존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대중 수출에 다시 활력을 불어넣으려면 현지 소비시장을 적극 공략하는 방식으로 수출 구조를 바꿔야 한다는 주문이
무역협회 관계자는 "중국의 대형 유통망과의 협력을 통해 현지 소비재 수출을 늘리는 게 적절한 대안이 될 것"이라며 "식품과 가정•환경용품 등은 국산 제품의 경쟁력이 높은데도 현지 마케팅에 애를 먹는 제품군에 속한다"고 말했습니다.
정부도 가공무역의 비중을 줄이고 소비재 수출을 확대하기 위한 각종 지원책 등을 추진할 방침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