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증권업계가 불황에 빠져들면서, 증권사들은 신성장 동력으로 헤지펀드를 주목했습니다.
KDB대우와 대신증권은 수백 억을 쏟아붓고 헤지펀드 운용 자회사 설립에 나섰지만, 정작 금융당국으로부터 허가도 받지 못했습니다.
그 내막을 서환한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 기자 】
KDB대우와 대신증권은 증권가의 불황을 타개하기 위한 해결책으로 헤지펀드를 주목했습니다.
KDB대우증권은 헤지펀드의 설립부터 운영까지, 모든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라임 브로커리지 시장 지배력 강화를 위해 대표이사 직할의 본부도 신설했습니다.
▶ 인터뷰(☎) : KDB대우증권 관계자
- "(헤지펀드와 관련된) PBS(프라임브로커리지 서비스)부분이 증권사에 있어서 새로운 비지니스이기 때문에 그 부분을 새로운 수익원으로 키우기 위해서…"
그러나 각각 250억 원과 100억 원씩 투자한 두 증권사의 헤지펀드 운용 자회사는 1년이 넘도록 금융당국의 본인가를 받지 못했습니다.
두 증권사가 소액채권 담합 협의로 금융위원회에 고발조치 됐기 때문입니다.
자산운용사들이 헤지펀드 설정을 인가받는데 한달 정도 걸리는 것을 감안하면, 당국이 일부러 본인가를 미루고 있다는 분석이 우세합니다.
만일 벌금형 이상의 처벌을 받게 될 경우, 다른 금융사에 대한 지분투자가 5년간 제한돼 자회사 설립이 사실상 물거품됩니다.
본인가를 받더라도 상황은 녹녹치 않습니다.
지난해 헤지펀드의 평균 수익률은 2.44%로, 6%대인 국내 주식형 펀드 평균 수익률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합니다.
헤지펀드 시장이 열렸지만, 외
"실질 있는 수익모델 발굴을 우선하고, 리스크 관리를 강화하겠다"고 밝힌 김기범 KDB대우증권 사장.
'소액채권 담합혐의'와 '헤지펀드 수익률 악화'라는 악재를 '신수익모델 창출'이라는 호재로 이끌어 낼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M머니 서환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