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서민 주거 안정을 위해 공공주택의 착공 관리에 직접 나서기로 했습니다.
토지주택공사의 자금난 등으로 입주 물량이 줄어들며 전세난이 심화하고 있다는 판단인데, 효과가 있을지 주목됩니다.
김경기 기자가 보도합니다.
【 기자 】
임대아파트와 공공분양 아파트를 포함한 한국토지주택공사, LH의 7월 말 현재 미착공 물량은 모두 46만 9천 가구에 달합니다.
이 가운데 국민임대 아파트는 19만 2천 가구로 전체 미착공 물량의 41%를 차지할 정도로 착공이 부진한 상태입니다.
게다가 전체 미착공 물량 중 절반이 넘는 26만 가구가 2년 이상 착공에 들어가지 못한 것으로 추산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정부는 국토부를 중심으로 LH와 수도권 지자체, 산하 공공기관이 참여하는 공공주택 착공관리 태스크포스를 조직했습니다.
부동산 경기 침체 등으로 공공아파트의 착공이 지연되면서 1~2년 뒤에는 입주 부족 현상이 현실화될 것으로 우려되기 때문입니다.
태스크포스 팀은 사업지구별로 미착공 물량을 선별해 착공 시기를 조율하고, 착공이 지연되는 사업장의 조기 착공 방안을 모색하게 됩니다.
정부는 특히 장기 미착공 상태로 남아 있는 5만 5천 가구에 대해 집중 관리에 나설 방침입니다.
하지만 공공주택 착공 지연의 원인이 부동산 경기 침체에 있는 만큼 거래 활성화 등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MBN뉴스 김경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