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여빈 인터뷰 사진=넷플릭스 |
몽글몽글 추억의 노래와 추억의 장소, 추억의 일화 공개
“Now is good” 외친 전여빈, ‘거미집’ 개봉까지 앞둔 그에게 현재는 어떤 시기일까
※ 본 인터뷰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너의 시간 속으로’ 전여빈이 안효섭, 강훈과 몽글몽글한 추억의 감성을 자극했다.
지난 8일 넷플릭스 시리즈 ‘너의 시간 속으로’가 공개됐다. ‘너의 시간 속으로’는 1년 전 세상을 떠난 남자친구를 그리워하던 준희(전여빈 분)가 운명처럼 1998년으로 타임슬립해 남자친구와 똑같이 생긴 시헌(안효섭 분)과 친구 인규(강훈 분)를 만나고 겪게 되는 미스터리 로맨스이다.
그런 가운데 준희와 민주 역을 소화한 배우 전여빈이 최근 서울 종로구 삼청동의 한 카페에서 인터뷰를 진행했다.
‘너의 시간 속으로’에서는 뉴진스의 ‘아름다운 구속’을 비롯해 멜로망스의 ‘Neve Ending Story(네버 엔딩 스토리)’, 림 킴의 ‘벌써 일 년’, 홍대광의 ‘사랑과 우정 사이’ 등의 OST 라인업이 구축됐다. 추억을 자극하는 레트로한 OST는 감성을 자극하고 추억을 소환하는 몽글몽글함을 선사했다.
그 속에서 전여빈은 시헌과 연준 역의 안효섭, 인규 역의 강훈과 함께 우정과 사랑을 오가는 청춘 로맨스를 그려냈다. 이들은 간질간질한 달달함과 풋풋하고 싱그러운 감성을 느끼게 만드는 활약을 펼쳤다. 원작 ‘상견니’와는 또 다른 매력으로 한국판 ‘상견니’를 완성시켰으며, 메이킹 영상 등을 통해 화기애애한 케미를 자랑해 몰입도를 높이기도 했다. 더불어 추억을 소환하는 따스한 무드의 로맨스와 그 속에서 풋풋하면서도 공감가는 우정의 형태로 시청자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아울러 전여빈은 ‘너의 시간 속으로’를 준비하며 일부 기간은 영화 ‘거미집’(감독 김지운)과 동시기에 촬영을 진행, 같은 달 공개를 하게 됐다. 이에 대한 소감과 당시 체력적으로 힘든 점은 없었는지 등 비하인드도 풀었다.
↑ ‘너의 시간 속으로’ 전여빈 사진=넷플릭스 |
A. 놀랍게도 훈이 씨가 제일 막내같지만 효섭 씨보다 형이다. 효섭 씨는 또래에 비해서 성숙하고 어른스러운 모습이 있었고, 불쑥불쑥 나오는 소년미가 낭낭한 사람이었다. 훈이는 정말 요즘 예능에 나와서 얼마나 넘치는 개그 본능을 가진 사람인지 만천하에 드러난 것 같다. 그런 개그 감각을 지닌 동시에 마음이 깊은 사람이다. 상대방의 말을 잘 들어줄 수 있는, 진심으로 누군가를 위할 수 있는 사람이었어서 그 두 사람이 조화롭게 현장에 분위기를 주도해줬다. 그런데 그 중에서도 사실 현장 분위기 메이커로 뽑고 싶었던 것은 감독님이었다. 감독님이 정말 부드러운 카리스마, 부드러운 리더십을 보여주신 어른이었다. 배우들에게도 그렇지만 스태프 한 분 한 분에게도 마음이 열려있는 분이셔서 눈과 귀가 열려있었다. 한 명 한 명의 의견을 동등하게 받아들여 주시고 의견을 물어보시고 흡수하시는 그런 모습들을 보면서 ‘내가 어느 날 시간이 흘러서 선배의 모습으로 갖추게 됐을 때 나도 저런 소통에 자세를 갖고 있는 선배였으면 좋겠다’라는 생각을 계속 하게 됐다.
Q. 엔딩이 원작과는 사뭇 다르다. 열린 결말인 듯, 나름의 해피를 안고 있는 결말이다. 만족스러운가.
A. 그 어느 작품을 보더라도. ‘엔딩은 꼭 이래야만 해!’라는 견해를 가지고 있지 않다. 해피여도 되고 새드여도 되고 닫힌 결말이어도 된다. 솔직히 ‘너의 시간 속으로’ 만큼은 준희와 민주가 시헌, 연준, 인규가 그 지난한 과정들을 겪은 사람들이 자신의 소중한 사랑을 놓치지 않기를, 그 친구들이 머무는 시간 속에서 완전히 행복하기만을 바랐다. 이 해피엔딩으로 꽉 닫히는 결말이 기뻤다. 이들을 지켜주는 생각이 들어서. 행복으로만 방어 쳐주고 싶었다. ‘너의 시간 속으로’ 결말에 대해서 굉장히 기뻐한다.
Q. ‘거미집’ ‘너의 시간 속으로’는 비슷한 시기에 촬영을 진행했다. ‘거미집’은 70년대를, ‘너의 시간 속으로’는 90년대부터 현재까지 폭넓게 다룬다. 두 작품으로 과거를 경험하면서도, 89년생인 전여빈이 연이어 다른 시기를 연기해야 했기에 힘든 점도 있었을 것 같다.
A. 3개월 정도가 촬영이 겹쳤다. 4, 5, 6월 정도 촬영 시기가 겹쳤다. ‘거미집’을 먼저 시작했고, 연이어서 ‘너의 시간 속으로’를 달리게 됐다. 내 몸은 하나이고, 감당해야할 시간들이 있으니까 체력적으로 정말 어려웠던 것 같다. 세트들이 워낙에 떨어져 있어서 전국을 막 돌아다녀야 하는 상황이 됐기 때문에 체력적으로 어려운 부분은 있었지만, 캐릭터를 연기하는데 있어서는 괜찮았다. 나중에 ‘거미집’이 오픈되면 아시겠지만, 너무 다른 온도의 사람이다. 만약에 이제 ‘거미집’의 미도가 트로트 같은 사람이라고 한다면, ‘너의 시간 속으로’ 민주와 준희는 클래식 같기도 하다. 전혀 다른 장르의 인물들이라서 표현하는 배우로서는 좀 더 용이했던 것 같다. 그 구획이 명확히 그려지니까.
Q. ‘너의 시간 속으로’는 타임 슬립물이다. 어려움이 있는 소재이기도 하다. 원작 ‘상견니’ 역시 보는 사람의 입장에서는 타임 라인 해석이 필요하기도 했다. 전여빈 역시 이런 타임라인을 완전히 이해했는지, 혹은 해석의 도움을 받았는지 궁금하다.
A. 처음 ‘상견니’ 원작을 봤을 때, 모두가 어려워 하는 구간은 나도 이해를 하지 못해서 수많은 블로그를 전전하며 추리하고자 애를 썼던 기억이 난다. ‘너의 시간 속으로’에서는 타임 슬립, 타임라인을 좀 더 정리를 해주시고자 하는 노력이 있었다. 오히려 그것을 연기하는 사람의 입장으로 갔기 때문에 인지를 하고 표현을 한 거라 ‘너의 시간 속으로’를 촬영할 때는 그 인지상태가 어렵지는 않았다. 이미 ‘상견니’라는 작품을 통해서 고뇌해봤고 그 시간이 흘러서 이번 작품에 들어가는데 있어서 감독님도 타임라인 표를 짜주시면서 이야기해주고 우리끼리도 상의를 해서 괜찮았다.
Q. 그렇다면, ‘너의 시간 속으로’ 속에서 연기를 하며 가장 재밌었던 시기는 언제인가.
A. 제일 마지막. 현재. 민주가 인규랑 학교 운동장에서 대화를 나누는 그 순간이랑 준희랑 시헌이가 버스에서 같이 있다가 내리고 나서 횡단보도에서 눈 내리는 날 마주하는 장면. 그것도 내가 현재를 중요하게 여기는 사람이라 일맥상통하는 것 같다. 우리 결말을 무지 좋아한다고 했는데, 그 결말이 굳건한 해피엔딩이라 그 시간대를 연기할 때도 가장 행복했던 것 같고, 연기하는 나라는 사람의 입장에서 그 장면들을 끝에 쯤에 찍었다. 모든 촬영이 지나가고 난 다음에, 그제서야 이 작품을 보내는 마음으로 기꺼이 보내주는 마음으로 정리하는 마음으로 ‘정말 많이 사랑했어, 잘 가 고마웠어’ 하는 마음으로 찍은 거라 애틋하게 남겨지는 장면들이다.
Q. 정말 사랑하는 사람을 만나려는 간절한 사랑을 보여준다. 시청자들에게 어떤 이야기를 전하고 싶나.
A. 사실 시청자분들이 받아들이시는 감정은 열려있는 거니까 느끼실 수 있는 모든 것들을 마음껏 느끼셨으면 좋겠고, 대신에 전해드리고 싶은 마음은 물어보고 싶은 마음이다. ‘여러분에게 사랑은 무엇이냐’라고 질문을 해보고 싶다. 그 모든 것을 뛰어넘는 사랑이라는 게 어떤 거라고 생각하시는지 알고 싶다는 질문을 띄워보고 싶다. 그런 대답을 듣고 싶은데 되게 궁금해진다.
↑ 전여빈 과거 사진=넷플릭스 |
A. ‘네버 엔딩 스토리’, 학창시절에 정말 좋아했던 노래였다. 그게 한 중고등학생 때였던 것 같다. ‘벌써 일 년’도 고등학생 때 좋아했던 노래 같다. ‘네버 엔딩 스토리’에서는 ‘그리워하면 언젠간 만나게 되는 어느 영화와 같은 일들이 이뤄져가기를’ 그 가사가 전체적으로 보면 되게 시적이라서 딱 떨어지는 감상이 들지는 않는다. 그 모호한 가사들이 주는 감정이 내게는 큰 덩어리로 아름다움으로 느껴졌었다. 그렇게 느꼈던 노래가 ‘너의 시간 속으로’의 OST가 됐다고 생각했을 때는 크게 기뻐했던 것 같다. 우리 시리즈가 갖고 있는 내용하고도 너무 닮아있다고 생각한다. 마치 이 시리즈를 쓰면서 같이 작곡한 곡처럼 너무 잘 어울리는 곡이라.
Q. 그렇다면, 추억의 노래를 듣고 타임슬립을 할 수 있다면?
A. 현재가 제일 좋다. (웃음) 그래도 타임슬립을 할 수 있다면, 지금 이 세상에 만날 수 없는 시간으로 돌아가보고 싶다. 그리운 사람을 만날 수 있는 그 시간으로는. 하지만 결국에는 현재가 제일 좋다.
Q. 전여빈의 학창 시절은 어땠을지, 또 추억의 장소가 있을까.
A. 막연하게 떠오르는 건, ‘젊은연극제’라는 걸 아시냐. 마로니에 공원에 모여서 학생들이 연극 축제를 벌이는 거다. 학교 대표로 공연들을 준비하고 그러는 거다. 대학 시절, 그때가 여름이었나 그렇다. 갑자기 엄청 덥다가 소나기가 내리더니 우리는 바깥에 있었는데 천막으로 다같이 숨어 들고 그랬다. 그 장면이 청춘처럼 느껴지더라. 축제를 즐기려는데 무너지듯 내리는 소나기를 피하려고 우리는 천막으로 피하는데, 천막에는 소나기 때문에 물이 너무 차서 결국 다른데로 도망을 갔던 모습도 생각이 났다. 내 학창시절의 모습은 비슷한 것 같다. 그 당시 할 수 있는 노력으로 열심히 살아냈던 사람 같다. 그리고 뭔가를 항상 희망하려고 했던 사람이다. 지금도 그렇다. 더 나아질 수 있다고. 인간은 노력하는 한 더 나아질 수 있다고 믿는 사람이다. 그 속도가 더딜 수도 있지만 언제나 인간은 노력하는 한 좋아질 수 있다고 믿는 편이라, 그런 사람이었던 것 같다. 계속 희망하고 포기하지 않으려는.
Q. 전여빈은 “Now is good”이라는 생각을 보여줬다. 두 작품이 연달아 공개되는 지금이 정말 최고의 시기인 것 같다. 전여빈에게 현재는 어떤 시기인가.
A. 지금도 너무 감사하다. 솔직한 나의 마음은 오히려 애를 쏟았던 작품들이 세상에 나오게 되니까 오히려 마음을 좀 담담하게 먹게 되려는 것들이 있다. 내 발을 땅에 붙이고 들뜨지 않는 마음으로 좀 앞을 직시하면서 걸어가야 할 길을 뚜벅뚜벅 걸어보자고 마음을 자꾸 먹게 된다. 그런 마음은 현재가 가장 중요한 동시에 또 배우라는 일을 너무나 아끼는 사람이기 때문에 이 일을 되게 짧은 호흡으로 바라보고 싶지 않다. 일희일비하고 싶지 않다. 조금 더 훨씬 더 진하고 깊은 호흡으로 이 생활을 꾸려가고 싶어서 마음도 그렇고 내 시선도 그렇고 ‘좀 더 길게 보자, 멀리 보자, 당장 나무가 아닌 이 숲을 보고 이 산을 바라보자, 좀 더 큰 그림을 그려보자’ 그렇게 마음을 먹어보고 있다.
Q. 일희일비하고 싶어하지 않다고 했지만, 데뷔 이후 다양한 작품을 하며 일희일비를 이제는 많이 느꼈을 듯하다. 멘탈 관리를 어떻게 하나.
A. 좋아하게 된 내 친구들. 사람들. 동료들. 그리고 나의 가족들에게 좀 마음을 진실하게 표현하는 것. 내가 어떤 날은 어려움을 느끼면 느낀다고 고백할 줄 알고, 기쁨을 느끼는 날에는 기쁨을 마음껏 이야기를 할 수 있고, 어떤 날은 용기를 내고 싶다고 할 때는 담담하게 약속하기도 하고. 그런 표현에 인색해지지 않으려고 한다. 그리고 내가 중심을 갖고 있는 상황에서 그 상황에 맞는 언행을 하려고 찾아보려고
[이남경 MBN스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