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보기
【 앵커멘트 】
마치 첩보·스파이 영화를 연상케 하는 내용으로 보였는데요. 외교부 출입하는 강재묵 기자 나와 있습니다.
【 질문1 】
강 기자, 다른 나라도 아니고 미국이 한국계 대북 전문가를 기소했다는 내용였어요.
수미 테리라는 인물부터 먼저 더 설명해주시죠.
【 답변 】
말씀하신 것처럼 CIA 출신 대북 전문가로 알려진 인물입니다.
서울에서 태어나 열두 살 미국으로 이주한 미국 국적자인데요.
CIA, 백악관 경력 이후에는 싱크탱크에서 활동하며 연구원으로서 북한 문제를 다뤄온 바 있습니다.
리포트에서 보셨듯, 지난해에는 북한이탈주민의 탈북 과정을 다룬 다큐멘터리 공동 제작자로 참여해 눈길을 끌기도 했었는데요.
현재 해당 영화는 미국 방송계 최고 권위 시상식인 '에미상' 후보에도 이름을 올린 차입니다.
【 질문2 】
사실상 '불법 로비스트'로 판단한 걸로 보입니다. 즉 간첩 활동을 했다는 주장인 걸까요?
【 답변 】
테리 연구원이 받고 있는 혐의는 '외국대리인등록법 위반' 혐의입니다.
미국 입장에서 '해외 정부의 정치 활동에 참여하는 인물'은 주기적으로 어떤 활동을 했으며, 또 어떤 수입과 지출이 있었는지 등을 공개해야 하는데 이 과정이 생략됐다는 것입니다.
이 때문에 말씀하신 것처럼 '불법 로비스트' 활동을 이어왔다고 판단한 건데요.
해당 활동을 이유로 물질적인 대가도 있었다는 것이 공소장에 담긴 내용입니다.
【 질문3 】
하나씩 살펴보죠. 미국 검찰은 수미 테리가 우리 국정원 요원한테 명품 등 향응을 제공받았다며 증거 사진까지 제출했어요. 꽤 긴 시간 조사를 한 모양이에요?
【 답변 】
테리 연구원과 우리 국정원 사이 첫 교류를 2013년으로 판단했죠.
10년에 가까운 시간, 적어도 수년에 걸친 장기간 수사가 이뤄졌음을 짐작할 수 있는 대목입니다.
검찰은 2019년 당시 테리 연구원이 국정원 직원으로부터 명품 선물을 받은 점 역시 주목했는데요.
공소장에는 5장의 사진과 함께 국정원 간부가 명품 가방을 결제하는 모습, 또 테리 연구원이 국정원 직원들과 저녁 식사를 하는 모습 등이 증거로 담겼습니다.
【 질문4 】
공소장을 보면, 수미 테리가 2014년에 FBI한테 한 차례 불려갔다는 내용도 있어요. 그런 이후에도 계속 명품을 받았다…수미 테리가 조심했을 것 같은데, 이 대목이 좀 이해가 가지 않는데요?
【 답변 】
검찰은 당시 테리 연구원이 매우 긴장한 모습을 보이고, 어조를 바꾸며 말도 더듬는 모습을 보였다고 설명했습니다.
2014년 당시 FBI는 "정책 전문가로서의 지위를 고려할 때, 한국 정보 기관이 금품을 제공하고 정보를 요구할 수 있다" 경고했지만, 이후에도 접촉은 계속됐다는 것이 미 검찰 측의 설명입니다.
【 질문5 】
어쨌든 동맹국인 우리나라 정보 당국의 활동 내역을 적나라하게 밝힌 셈이에요.
【 답변 】
그렇습니다.
이 때문에 미 측이 한국 정보 당국에 보낸 '경고 메시지'라는 분석도 나옵니다.
31쪽에 이르는 공소장에는, 테리 연구원과 국정원의 접촉은 물론 대화 내용까지 매우 상세히 담긴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우리 정보기관의 활동이 너무 허술하게 이뤄진 것 아니냐는 비판도 함께 나오는 중입니다.
【 질문6 】
그런데 여기서 의문점은 왜 하필 지금 현재 문제제기가 됐는지예요. 10년의 기간 중 자료가 확보된 때가 있었다면 진즉 언급이 있지 않았을까요.
【 답변 】
말씀처럼 미 정보당국이 이 모든 자료를 2019년 등 당시에 이미 확보했다면, 기소가 보다 빨랐을 것이란 추측도 있습니다.
이 때문에 이번 공소장에 담긴 자료 중 일부는, 우리 정보 당국이 관리하던 내용이
미 측으로 흘러들어갔을 가능성은 없는지에 대한 우려도 일각에서 나왔는데요.
우리 정보 당국이 테리 연구원과 소통하는 내용을 자체적으로 기록하기 위해 보관하던 것이 미 측으로 공유되진 않았을까 하는 우려입니다.
대단히 민감한 사안인 만큼 모든 가능성을 열고 대외·대내적인 조사를 모두 진행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오는 중입니다.
【 질문7 】
우리 당국은 어떤 입장인가요.
【 답변 】
먼저 국정원은 이번 사안과 관련해 한미 정보 당국이 긴밀히 소통하고 있다는 원론적인 입장을 밝혔습니다.
외교부 역시도 "외국 사법 절차가 진행 중인 사안에 대해 언급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는 입장인데요.
이번 일로 미국 현지에서의 정보활동이 위축될 수 있단 우려도 이어지는 만큼 우리 측 정보 당국의 앞으로의 입장도 계속 주목되고 있습니다.
【 앵커 】
양국의 앞으로의 대처와 반응 역시 계속해서 지켜봐야될 것으로 보입니다. 강재묵 기자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