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보기
'여보게 그날 무엇을 했고 무엇을 보고 들었나.'
김주열 열사를 추모하는 시입니다. 그는 열여섯 살이던 1960년 자유당 정권의 3·15 부정선거를 규탄하다가 실종됐습니다. 27일 만에 마산 중앙부두에서 발견된 소년의 시신은 눈에 최루탄이 박힌 처참한 모습이었고 이 사건은 4·19 혁명으로 이어지는 기폭제가 되지요.
3·1운동에 몸을 던진 유관순 열사나 광주 학생 항일 운동을 보면 이 땅의 민주주의는 꽃다운 10대 청년들의 희생으로 쌓아 올린 금자탑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겁니다.
'촛불 중고생 시민연대'를 아십니까. 이름만 들으면 '청소년 단체'일 것 같은데. 아닙니다. 회원 97%가 성인인 단체입니다.
작년 11월 기준 4, 50대가 60명으로 가장 많고 이어 2, 30대 19명, 60대 이상이 18명, 정작 중고생인 10대는 불과 3명이었거든요.
이 단체는 회원 명부에 없는 "중고생 회원 3, 4백 명이 꾸준히 있었다." 라고 주장하지만 서울시는 성인들로 구성된 사실상 '정치 이념 단체'란 입장입니다.
심지어 회원 명부도 가짜였죠. 서울시가 무작위로 연락한 12명 중 10명이 이 단체 회원이 아니거나 단체명조차 모른다고 답했거든요.
또 이 단체가 서울시 보조금을 받아 발간한 '중고생운동사'의 내용은 국가보안법 위반 소지가 다분합니다. 촛불연대가 과거 김일성이 대표였던 '타도제국주의 새날소년동맹'의 계보를 잇는 단체라고 되어 있거든요.
이 단체가 받은 서울시 보조금은 9천 100만 원. 다 국민 혈세입니다. 서울시는 "고발 조치와 보조금 1천 600만 원. 그러니까 일부를 환수했으며 기타 부당 편취한 보조금은 추가 환수할 계획"이라며 뒤늦게 부산을 떨고 있지만.
전화 몇 통만 해도 확인할 수 있었던 걸 그동안 손 놓고 뭘 했던 걸까요. 담당 공무원들이 바뀌지 않으면 제2, 제3의 '촛불 중고생 시민연대' 같은 일은 얼마든지 생길 겁니다. 우린 또 계속 그 공무원들을 믿고 세금을 내고 말이죠.
김주하의 그런데 오늘은 '10대 3명뿐…'중고생 단체' 맞나?' 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