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의 눈

2013.06.25

NLL 대화록 공개 후폭풍과 6.25

  • 글자크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다시보기

    1950년 6월 25일, 고요하던 일요일 새벽,
    38선 전역에 총성이 울려 퍼졌습니다.

    북한이 기습적으로 남한을 향해 총공격을 퍼부은 것인데요,
    수백만 명의 인명손실과 천만 명이 넘는 이산가족을 남긴
    3년간의 동족상잔의 비극, 그 서막이었습니다.

    오늘은 6·25 전쟁 63주년이 되는 날 인데요,
    문성묵 한국전략문제연구소 전문연구위원,
    김기호 경기대 정치전문대학원 교수와 함께
    6·25전쟁의 역사와 의미에 대해 자세히 얘기 나눠 보겠습니다.


    NLL 대화록 전격 공개

    1. 국정원이 2007년 남북 정상회담 대화록 원본과 발췌본을 국회 정보위원
    12명의 사무실로 전달했습니다. 그 파장, 만만치 않아 보이는데요.
    어떻습니까?

    2. 국가정보원은 2급 비밀이었던 2007년 남북 정상회담 대화록을
    일반 문서로 재분류해 공개하기로 결정했는데요. 국정원이 이렇게까지
    하는 이유, 뭐라고 보십니까?

    3. 검찰은 노무현 전 대통령의 북방한계선 NLL포기 발언과 관련한
    수사에 다시 나섰습니다. 검찰의 수사 초점은 어디에 맞춰지게 될까요?

    4. 이번 대화록 공개는 남재준 국정원장의 결단이라는 의견이 강합니다.
    검찰은 남재준 원장이 열람을 허용한 것이 정치관여 금지를 위반한 것인지 여부도 가리게 될 텐데, 이 상황 어떻게 보십니까?



    ** 동족상잔의 비극, 왜 시작됐나?

    1. 먼저, 63년 전인 1950년 6월 25일에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 설명부터 해 주시죠.

    2. 북위 38도선을 경계로 남과 북이 나뉘어져 있는 상황이었는데요, 북한은 왜 기습적으로 우리나라를 침략했던 겁니까?

    3. 우리나라가 일제강점기로부터 독립한 것이 1945년입니다. 당시 왜 우리나라는 국토분단이라는 비참한 운명에 놓일 수밖에 없었던 건가요?

    4. 그 뒤로 3년 1개월 동안 이어진 남과 북의 전쟁이 얼마나 참혹한 모습이었는지, 전쟁 과정에 대한 설명을 부탁드립니다.


    ** '6·25 전쟁’을 바라보는 5개국의 시선

    1. 오늘 나눠 볼 얘기는 '6·25 전쟁’에 대한 역사적 의미입니다. 이 '6·25 전쟁’을 바라보는 세계 각국들의 해석이 다 다르다고 하는데요, 저희가 준비한 내용 먼저 보시죠. (판넬) 먼저, 우리나라는 '6·25 전쟁’이라는 호칭을 쓰는데요, 그 배경은 무엇인가요?


    2. 다음으로 북한에서는 ‘조국해방전쟁’이라는 용어를 쓴다고요, 이유는 무엇이며 어떤 뜻을 담고 있습니까?

    3. 미국에서는 '6·25 전쟁’을 단순히 ‘한국전쟁’이라고 부릅니다. 또는 ‘잊혀진 전쟁’이라는 표현을 쓴다고 하는데요, 미국이 '6·25 전쟁’을 이렇게 표현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4. 우리와 가장 가까운 나라 중국에서는 ‘항미원조전쟁’이라는 표현을 쓰는군요. 말 그대로 해석해야 하는 겁니까?

    5. 다음, 일본에서는 ‘조선전쟁’이라고 '6·25 전쟁’을 부른다는데요, 여기에는 어떤 배경과 이유가 있습니까?


    ** 여전히 팽팽한 대립관계, ‘남과 북’

    1. 오늘 나오신 두 분 모두 군 장성출신이시지 않습니까. 현재 남과 북의 군 전력비교를 해 본다면 어떨까요?

    2. 6·25 전쟁은 남과 북의 전쟁이었지만, 미소양국의 지원을 받는 전쟁이었죠. 당시의 남북군대와 오늘날의 남북군대, 어떤 차이가 있다고 볼 수 있습니까?

    3. 북한은 여전히 우리를 향해 언제라도 군사도발을 할 가능성을 충분히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는데요, 남북 군사전력 가운데 가장 높은 순위로 꼽을 수 있는 공격력은 어떤 것이라고 볼 수 있을까요? (육해공군 가운데 전력이 높은 것은?)



    ** 잊지 못할 '6·25’, 우리는 왜 잊고 있나?

    1. 요즘 '6·25 전쟁’기념일을 맞아 계속해서 나오고 있는 얘기가 바로, 우리나라의 역사인식 부재에 대한 문제입니다. 얼마나 심각한 상황인가요?

    2. 현재 우리나라는 청소년의 70% 정도가 '6·25 전쟁’에 대한 의미를 잘 모르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문제를 두고 청소년들의 문제로만 떠넘기기에는 무리가 있어 보이는데요, 가장 큰 문제는 무엇이라고 보십니까?

    3. 우리나라는 세계 유일의 분단국가입니다. 그만큼 안보에 대해 신경 써야 할 부분이 많은 것이 사실인데요, 어떤 국가안보관을 형성하는 것이 올바른 것일까요?



    MBN 종합뉴스 평일용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