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행복 수준이 30년 전과 마찬가지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하위권에 머물렀다는 학계의 분석이 나왔습니다.
소득 수준은 높아졌지만 소득 격차는 벌어졌고, 건강이 좋아졌지만 안전에 관한 행복도는 크게 낮아졌습니다.
오늘(5일) 한국경제학회 한국경제포럼에 실린 '행복지수를 활용한 한국인의 행복 연구'를 보면 물질적·사회적 기반에 관한 한국의 행복지수는 1990년과 2017년 모두 OECD 31개국 가운데 23위였습니다.
박명호 한국외대 교수와 박찬열 경남연구원 연구위원은 삶의 질과 밀접한 27개 지표를 바탕으로 OECD 36개 회원국 중에서 규모가 작은 곳을 뺀 31개국의 행복지수를 물질적·사회적 기반에 관한 분야와 격차에 관한 분야로 나눠 산출했습니다.
물질적·사회적 기반에 관한 분야에서 한국의 순위는 약 30년 전과 같았지만, 세부적으로는 차이가 났습니다.
한국은 소득 수준이 1990년에 OECD 28위였으나 2017년에 20위로 여덟 계단 올라섰습니다. 당시 6천516달러에 불과하던 1인당 GDP가 2만9천743달러로 뛰어오른 영향입니다.
기대수명이 늘어나며 건강 지표 순위도 26위에서 10위로 급상승했습니다.
반대로 안전에 관한 지수는 1990년 15위로 중위권이었으나 2017년 최하위권인 30위로 떨어졌습니다. 한국인이 체감하는 심리적인 안전 수준이 다른 선진국보다 나빠졌고, 자살률도 올라갔기 때문입니다.
주거에 관한 지수도 22위에서 24위로 밀려났습니다.
물질적·사회적 격차에 관한 분야에서 한국인의 행복수준은 1990년 29위에서 2017년 30위로 한 계단 하락했습니다.
소득격차는 1990년 21위에서 2017년 27위로 여섯 계단 내려왔습니다. 국민들의 전체적인 소득 수준은 높아졌지만, 격차는 벌어지며 전체적인 행복도를 깎아내린 셈입니다.
성별격차는 1990년과 2017년 모두 조사대상국 가운데 꼴찌인 31위였습니다.
박명호 교수는 "한국인의 행복수준은 OECD 국가들과 비교해 하위권에 속한다"며 "물질적·사회적 격차에 관한 부분은 OECD 국가들과 비교해
연구진이 한국, 칠레, 멕시코, 폴란드처럼 행복수준이 하위권인 국가로 좁혀 분석한 결과, 소득수준이나 일자리만이 아니라 사회적인 격차도 행복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편 유엔(UN) 세계행복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행복지수는 2015년 47위에서 2019년 54위로 하락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