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만에 증가세' 저축은행 대출 연체액, 무엇이 문제인가?
꾸준히 감소하던 저축은행의 대출 연체액이 5년여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습니다.
연체율은 소폭 줄었지만, 가계대출이 급격하게 늘어나면서 연체액이 증가한 것입니다.
24일 금융감독원 금융통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1분기 말 현재 79개 저축은행의 연체금액은 2조6천426억원을 기록, 전 분기 말(2조5천314억원) 대비 1천112억원 늘었습니다.
저축은행의 연체액은 저축은행 부실 사태를 겪으면서 2011년 말에는 14조6천억원에 이를 만큼 폭증했다가 저축은행 사태를 정리하면서 꾸준히 줄었습니다.
연체율도 2015년 1분기만 해도 13.52%에 달했지만 지난해 말에는 5.84%까지 떨어졌고, 지난 1분기에는 5.80%를 기록했습니다.
하지만 꾸준히 줄어들던 연체액은 지난 1분기 다시 늘어나면서 5년 3개월 만에 처음으로 증가세로 전환했습니다.
연체율이 떨어졌지만, 연체액이 늘어난 것은 저축은행 대출액이 많이 늘어났기 때문입니다.
지난 1분기 79개 저축은행 총 여신은 45조6천억원으로 전 분기(43조4천억원) 대비 2조2천억원 가량 늘었습니다.
총 여신액은 지난해 4분기에도 전 분기 대비 약 2조3천억원 늘어나며 역대 가장 큰 증가 폭을 기록하는 등 2분기 연속 2조원 이상 급증했습니다.
정부가 은행권에 여신심사 가이드라인을 적용하는 등 대출 옥죄기에 나서자 이른바 '풍선효과'가 생기면서 저축은행 대출이 급증한 것입니다.
전문가들은 지금처럼 연체율은 떨어졌지만, 연체액이 늘어날 때는 연체율만 보고 건전성이 좋다고 판단해서는 안 된다고 경고합니다.
연체율은 연체액을 대출잔액으로 나눈 값입니다.
지난 분기처럼 연체액이 늘었어도 대출잔액이라는 모수가 더 빨리 늘어나면 연체율이 떨어지는 것입니다.
또 연체율은 선행지표가 아닌 동행지표라는 점에서도 조심해야 합니다.
대출이 나가면 처음에는 이자를 잘 내 연체율이 떨어지지만, 경기가 어려워지거나 금리가 오르면 이자 상환에 부담이 생기면서 연체율도 올라가게 됩니다.
위기가 터지고 나서야 연체율이 상승하는 것입니다.
특히 저축은행 대출은 경기가 어렵고 금리 상승기에 먼저 부실화되는 저소득·저신용자나 자영업자 등에 몰려 있어 더 위험합니다.
이 때문에 금융당국도 저축은행 대출 증가율을 전년 동기와 같은 수준으로 유지하라고 지도하며 사실상 총량제를 적용하고 있으며, 고금리 대출에 대한 대손충당금 적립 부담도 늘리면서 대응에 나서고 있습니다.
박종옥 예금보험공사 저축은행관리부 경영분석팀장은 "대출금리 상승 시 한계 차주의 상환부담 증가로 연체율이 상승할 우려가 있다"며 "가계대출
임진 금융연구원 가계부채연구센터장은 "연체율의 함정에 빠지지 않기 위해서는 연체액 총액과 대출자의 신용등급, 대출 종류, 경제 상황 등을 함께 보면서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