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때문에 전문가들은 여름철 상처는 아무리 가벼워도 방치하면 아물거나 흉터가 남을 수 있어 올바른 관리가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고려대 구로병원 성형외과 한승규 교수는 “무더운 시기에는 세균 활동이 왕성해지고, 피부에서 분비되는 땀이 피부에 있는 세균번식을 활발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상처가 생겼을 때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며 “건강한 사람들은 신체내의 면역기능으로 특별히 독한 벌레가 아니면 큰 문제가 없지만 몇일이 지나도 상처 부위가 부어오르고 빨게지며, 열도 나고 통증이 심한 경우 병원을 찾아가 정확한 진찰을 받아야 한다”고 조언한다. 한승규 교수는 이어 “나들이를 할 때는 상처나 벌레에 물렸을 경우를 대비해 소독제, 항생제 연고, 상처를 보호할 수 있는 드레싱제 등을 준비하면 유사시 많은 도움이 된다”고 덧붙였다.
상처(傷處)는 몸에 손상을 입은 것을 말한다. 상처는 크게 켈로이드 상처, 경축(痙縮)상처, 비후성반흔(肥厚性斑痕), 여드름 상처 등으로 나뉜다. 켈로이드는 상처가 치유되는 과정에서 섬유조직, 특히 콜라겐이 비정상적으로 밀집돼 원래 상처부위보다 더 커지면서 상처 주변으로 자라나는 성질이 있다. 켈로이드 상처는 흉터도 크게 남는다. 경축상처는 근육과 신경조직에 까지 악영향을 미친 것으로 화상이나 칼로 베였을 경우에 주로 나타난다. 비후성 반흔은 상처형태가 켈로이드와 비슷하지만 주변 정상적인 조직을 침범하지 않으며 스테로이드 주사로 염증을 완화시켜주고 편평하게 펴줄 수있다. 상처가 생기면 우리 몸은 곧바로 반응이 시작되어 염증, 상피화(피부세포 분열), 증식(피부세포질과 세포기질 증식), 성숙(새로 형성된 피부세포가 제자리 찾아감)단계를 거쳐 치유된다.
여름철 가장 흔한 상처는 물놀이에 의해 발생한다. 물놀이 도중 발생하는 상처는 주로 마찰이나 긁혀서 생기는 상처로 피부외층이 손상을 받거나 피부가 떨어져 나간 상태의 찰과상인 경우가 많다. 상처가 발생하면 식염수로 상처 부위를 깨끗이 세척하고, 표피면에 국한된 심하지 않은 상처는 상처가 나을 때까지 습윤드레싱제를 사용하는 게 좋다.
아이가 물놀이를 하던 도중에 상처가 생겼다면 물속의 세균과 바이러스가 침입해 감염을 일으키는 ‘수인성 감염’질환에 노출될 위험이 있다. 따라서 상처가 생기면 곧바로 물놀이를 멈추게 하고 올바른 응급조치 및 상처치료를 해야 한다. 만약 세균에 감염됐다면 해당 부위가 솟아오르고 고름이 동반된다.
벌레에 물린 상처도 조심해야 한다. 발레에 물렸다면 물린 즉시 벌레가 분비한 독소들이 퍼져나가지 않도록 얼음이나 찬물을 사용해 피부 및 피하 혈관을 수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린 부위를 긁는 것은 독소를 주위조직으로 퍼지게 할 수 있어 좋지 않다.
상처에 가장 예민한 사람은 당뇨병 환자다. 당뇨병 환자는 균에 대한 저항력도 떨어지는 데다 손발 끝의 감각이 둔해져 작은 상처도 크게 번질 수 있다. 연세대 강남세브란스병원 안철우 교수(내분비 당뇨병센터 소장)는“당뇨병 환자는 바닷가나 수영장에서 맨발로 다니는 것은 금물이고 슬리퍼나 샌들을 신더라도 양말을 꼭 신어야 한다”며 “외출해서 돌아온 후에는 발을 비누로 깨끗이 씻고 완전히 말린 다음 상처가 있는지 관찰해야 하고, 만약 아프지 않더라도 물집이나 발 색깔의 변화가 있으면 반드시 병원에 가야 한다”고 조언한다.
등산이나 모기에 물려 자주 발생하는 대표적인 질환은‘봉와직염(蜂窩織炎)’이다. 급성 세균감염증의 일종인 봉와직염은 짧은 옷을 즐겨 입고 장마와 더위로 인해 위생상태가 불량하기 쉬운 여름철에 가장 많이 발생한다.
봉와직염은 초기에는 별다른 증상이 없어 연고를 바르거나 파스를 바르고 만다. 간혹 무좀균에 의한 감염으로 봉와직염이 발생한 경우 무좀으로 생각하고 무좀약을 바르기도 한다. 결국 대부분의 환자들이 상태가 심해진 후에야 뒤늦게 병원을 찾는다.
봉와직염은 일반적인 피부질환과 달리 피부층 아래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그 발생범위가 넓고 깊은 것이 특징이다. 상처부위의 심한 통증과 함께 상처 주변의 피부색이 붉게 변하며 붓는다. 심할 경우 열이 나고 상처부위 아래쪽에 단단한 덩어리 같은 것이 만져지기도 한다. 만약 치료시기를 놓치게 될 경우 균이 온몸으로 번지거나 다른 부위로 퍼지면서 패혈증까지도 동반하여 사망에 이를 수 있다.
봉와직염을 치료하려면 일반적으로 항생제를 투여하고 진통 소염제 등의 약물치료를 병행하면 대부분 호전된다. 차가운 수건이나 얼음주머니로 냉찜질을 해주고 충분한 휴식을 취하는 것도 치료에 도움을 준다.
상처가 생겨 피가 나면 올바른 지혈이 가장 중요하다. 지혈할 때는 수건이나 거즈로 상처부위를 완전히 덮어 손으로 압박한다. 입으로 상처를 빨아 소독하는 것은 위험하다. 입안에 있는 많은 세균 때문에 상처의 감염확률을 더욱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지혈 후에는 흐르는 물이나 식염수로 상처를 깨끗이 씻고 소독해야 한다. 특히 상처를 입은 부위가 지저분하거나 더러운 경우엔 비누를 사용해서 씻는 게 좋으며, 이렇게만 해도 충분한 소독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오염이 심하지 않은 대부분의 상처들은 상처치유 과정에서 세포로부터 생성되는 성분들이 어느 정도 균 억제 역할을 한다. 소독제로 익숙한 알코올, 과산화수소 등은 정상 세포에 손상을 줄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세브란스병원 성형외과 유대현 교수는 “과산화수소나 머큐로크롬 등으로 상처 부위를 소독하는 것은 상처치료 과정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세포들의 활동을 방해해 오히려 상처치료를 더디게 할 수 있다”며 “가벼운 상처는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소독할 필요가 없다”고 조언했다.
흉터를 최소화하려면 손상받은 피부조직이 조기에 재생되도록 하는 게 중요하다. 그럴려면 피부세포가 증식하고 증식된 세포들이 교원질, 성장인자 등 피부재생에 필요한 여러 물질들을 생산할 수있도록 상처에 적당한 습윤 환경을 유지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가능한한 가볍게 소독을 하거나 항생제나 항균제가 혼합되어 있는 연고를 바른 후 습윤 드레싱제로 덮어주는 것이 상처관리에 좋다.
강남아름다운나라피부과 이상준 대표원장은 “습윤드레싱제는 상처면을 밀폐해 습윤상태를 유지시켜 치유속도를 높이고, 세균 감염을 예방해 효과적으로 상처를 관리할 수 있다”며 “습윤드레싱제는 상처 부위를 깨끗하게 소독한 뒤 사용하며, 상처 크기보다 더 크게 잘라 상처가 완전히 덮이도록 붙이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이병문 의료전문 기자
<일상 생활 속에서 상처관리 어떻게>
·가벼운 상처는 소독하지 않고 놔둔다
·소독은 세포활동 방해해 치료를 지연
·상처입으면 수돗물·생리식염수로 씻음
·상처부위 더러우면 비누로 깨끗이 씻음
·심한 상처 아니면 세포성분이 살균역할
·아이 상처는 씻긴 후 연고를 발라준다
·깊지 않은 상처는 연고사용 필요 없음
·대부분 연고는 항생제 포함돼 신중해야
·상처감염 모를 땐 항생제 연고 사용가능
·상처치료제 1~2주동안 안나을때 사용을
·상처 깊고 클땐 전문의 찾아 치료받아야
·당뇨환자는 상처 작아도 병원찾아 치료
※자료= 성형외과 전문의들의 의견 취합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