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한 난임 부부가 인공지능(AI) 기술의 도움으로 18년 만에 임신에 성공했습니다.
![]() |
↑ 난임 연구(기사와 직접적인 관계 없음) / 사진 출처=연합뉴스 |
현지시각 3일 CNN 등에 따르면 익명의 한 부부가 18년 간의 임신 시도 끝에 체외수정으로 아이를 가져 오는 12월 출산할 예정입니다.
이 부부는 그동안 전 세계 곳곳의 난임 클리닉을 방문해 여러 차례 시술을 시도했습니다.
하지만 남편이 정자 수가 희박한 ‘무정자증’으로 번번이 실패로 돌아갔습니다.
컬럼비아대 난임센터는 센터를 찾아 온 부부에게 AI 기술을 도입한 ‘STAR(Sperm Tracking and Recovery)’ 시스템을 활용했습니다.
이 시스템으로 그동안 사람의 눈에 보이지 않던 ‘숨은’ 정자 3개를 찾아냈고 아내의 난자에 주입했습니다.
마침내 수정까지 이뤄지면서 해당 시스템을 이용한 첫 번째 임신 성공 사례가 됐습니다.
STAR 시스템은 정액 샘플을 특수 설계된 칩에 올려 고속 카메라와 고출력 이미징 기술로 샘플을 스캔해 정자를 찾는 방식입니다.
AI는 학습된 이미지를 바탕으로 800만개 이상의 이미지를 촬영하고 분석합니다.
그동안 배아 연구자들이 식별할 수 없었던 세포도 찾아낼 수 있습니다.
이 시스템을 동료들과 함께 개발한 제브 윌리엄스 컬럼비아대 난임센터장은 “놀라운 점은 일반적인 샘플에 200만~300만개의 정자가 있는데 비해 이런 환자들의 샘플에는 단 2~3개만 있다”며 “STAR 시스템의 정확성과 우리 연구진의 전문성 덕분에 적은 수의 정자라도 성공적으로 수정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센터장에 따르면 이 시스템을 이용하는데 드는 비용은 3,00
STAR 개발팀은 연구개발 성과를 공개해 추후 다른 난임센터들과도 공유할 예정입니다.
윌리엄스 센터장은 “(이 기술이) 인간의 전문성을 대체하기 때문이 아니라 그것을 증폭한다는 점에서 획기적인 일”이라며 “이것이 난임 치료의 미래”라고 평가했습니다.
[한은정 디지털뉴스 기자 han.eunjeong@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