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때 신흥 최측근으로 부상한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와의 관계를 회복할 뜻이 없다고 밝혔습니다.
![]() |
↑ 트럼프와 머스크 / 사진=연합뉴스 |
7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은 NBC뉴스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머스크와의 손상된 관계를 회복하길 원하냐는 질문에 "아니다"라고 답했고, 그와의 관계가 끝난 것으로 보느냐는 물음에는 "나는 그렇게 추정한다. 그렇다"고 말했습니다.
머스크와 대화할 계획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나는 다른 일을 하는데 너무 바쁘다. 그와 대화할 의향이 없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이어 그는 "대통령직에 대해 무례했다. 나는 그것이 매우 나쁜 일이라고 생각한다"면서 자신을 향한 머스크의 공격을 재차 비판하기도 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감세 공약 등을 반영한 법안에 반대하는 머스크가 법안에 찬성한 공화당 의원들을 낙선시키기 위해 민주당 후보들을 후원할 경우 "매우 심각한 결과(대가)를 감내해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또 "일론(머스크)이 (최근 자신과의 갈등을 계기로) 법안의 장점을 부각했다"고 주장하면서 "관심이 없던 사람들도 그 법안이 얼마나 좋은지 알게 됐다는 점에서 큰 이익이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나는 그가 (법안에 대해) 낙심하고 마음 상한 것이 부끄러운 일이라고 본다"고 덧붙였습니다.
머스크가 운영하는 스페이스X 등 기업들이 연방 정부와 맺은 계약을 철회할지에 대해선 "내게 그럴 권한이 있을 것이나, 나는 그럴 생각을 한 바 없다"고 했습니다.
미성년자 성매매 혐의로 수사를 받던 중 감옥에서 극단적 선택을 한 억만장자 제프리 엡스타인과 자신의 관계를 둘러싼 의혹을 제기하는 글을 머스크가 한 때 SNS에 올린 데 대해서는 "엡스타인의 변호사조차도 내가 (엡스타인의 범죄와) 관계가 없다고 했다"고 주장했습니다.
두 사람은 대선 때 머스크가 트럼프 대통령을 전폭적으로 지원하고, 머스크가 트럼프 2기 초반 정부 구조조정 책임자로 중용되면서 밀착했습니다.
그러나 대규모 감세 등 트럼프 대통령의 국정 어젠다를 담은 이른바 '하나의 크고 아름다운 법안'에 머스크가 공개적으로 반대하고 나서면서 이상기류가 형성됐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5일 독일 총리와의 정상회담 석상에서 머스크에 "매우 실망했다"며 비판했고, 머스크가 SNS 댓글을 통해 트럼프 탄핵에 지지를 표명하는
'관계 단절'을 선언한 트럼프 대통령과 달리, 머스크는 충돌 후 트럼프를 공격한 SNS 글을 삭제하고, 소유 기업이 참여 중인 항공우주국(NASA)과의 협력 사업을 계속하겠다는 뜻을 밝히는 등 화해를 위한 제스쳐를 보이고 있습니다.
[김나연 디지털뉴스 기자 kim.nayeon@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