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금리동결 결정 설명하는 파월 미 연준 의장 / 사진 = AP |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현지시간 19일, 기준금리를 4.25∼4.50%로 또 동결했습니다. '트럼프 관세'로 인한 경제전망의 불확실성을 고려한 결정으로 보입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이틀간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마친 후, 기준금리를 기존 4.25∼4.50%로 유지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습니다.
FOMC는 성명을 통해 "최근 지표에 따르면 경제 활동은 견고한 속도로 계속 확장해 왔다. 실업률은 최근 몇 달 동안 낮은 수준으로 안정화했으며 노동 시장 상황은 여전히 견고하다"면서도 "인플레이션은 다소 상승한 상태"라고 진단했습니다. 또 "위원회는 장기적으로 최대 고용과 2%의 인플레이션을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경제 전망에 대한 불확실성이 증가했다"고 지적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진행 중인 '관세전쟁'으로 인한 경기 침체 및 물가 상승 우려를 반영한 발언으로 해석됩니다.
2022∼2023년의 공격적인 금리 인상 기조를 마무리하며, 작년 9∼12월 3차례에 걸쳐 기준금리를 총 1.0%포인트 인하한 연준은 지난 1월 29일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첫 FOMC에 이어 이날까지 두 차례 연속 금리를 동결했습니다.
분기마다 공개되는 경제 전망 예측(SEP)에서 연준은 올해 말 기준금리(중간값)를 3.9%로 전망하며, 연말까지 0.25%포인트씩 두 차례 금리 인하 가능성을 시사한 바 있습니다. 다만 금리 인하 폭을 확
연준의 이번 결정으로 한국(2.75%)과 미국 간 금리 차이는 상단 기준, 1.75%포인트로 유지됐습니다.
[최유진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t5902676@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