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0일(현지시각) 백악관에서 행정명령에 서명하고 있다. / 사진 = AP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철강과 알루미늄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한 가운데, 호주는 이 조치에서 제외될 가능성이 제기됐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현지시간 10일, 호주의 앨버니지 총리와 통화 후 기자들을 만나 미국이 호주를 상대로 무역수지 흑자를 내는 점을 크게 고려해 철강·알루미늄에 대한 관세 면제를 고려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호주가 몇 안 되는 미국의 무역흑자 국가 중 하나며 "그 이유(흑자의 이유)는 호주가 (미국산) 비행기를 많이 사기 때문이다. 호주는 꽤 멀리 떨어져 있고 비행기가 많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우리가 이 점을 크게 고려할 것이라고 앨버니지 총리에게 말했다"고 강조했습니다.
앨버니지 총리도 트럼프 대통령과 통화 후 기자회견을 열어 "호주에 대한 (철강·알루미늄 관세) 면제를 요청했다"며 "트럼프 대통령이 양국 이익을 위해 (관세) 면제를 고려하기로 동의했다는 점을 공개적으로 발표하기로 우리는 합의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과 매우 건설적이고 따뜻한 논의를 가졌다"면서 협상 타결에 대한 기대감을 나타냈습니다.
앨버니지 총리는 또한 "미국은 (해리) 트루먼 행정부(1945∼1953년 재임) 이후로 호주 상대로 무역 흑자를 기록하고 있다"면서 미국의 호주 상대 수출이 수입의 약 2배에 이른다고 설명했습니다.
![]() |
↑ 앤서니 앨버니지 호주 총리가 11일(현지시각)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전화 통화에 대해 연설하고 있다. / 사진 = AP |
미국 상무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의 대호주 상품 수출액은 346억 달러(약 50조 3천억 원)로, 수입액 167억 달러(약 24조 3천억 원)의 두 배 이상을 기록하며 179억 달러(약 26조 원)의 무역흑자를 냈습니다. 반면, 호주산 철강과 알루미늄은 이 미국 수입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1%와 2%에 불과했습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철강과 알루미늄에 대한 관세를 단순화한다"며 "예외나 면제 없이 모든 알루미늄과
[최유진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t5902676@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