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매체가 지난 8일 아베 신조 전 총리 총격 사망 사건과 관련, 한국의 경호 수준을 언급해 눈길을 끈다.
요미우리 신문은 지난 3월 대구에서 40대 남성이 박근혜 전 대통령을 향해 소주병을 던졌을 때 경호팀 대응에 대해 소개하며 "경호원들의 움직임이 아베 전 총리가 총격당한 사건과 대조적"이라고 보도했다.
신문은 박 전 대통령에게 한 남성이 소주병을 던지자 불과 2~3초만에 십수 명의 경호원들이 빠르게 달려왔다고 전했다.
하지만 아베 전 총리를 향해 야마가미 데쓰야(41)가 총격을 가하자 경호원들은 그를 제압하러 달려들었다며 그들의 역할은 용의자 체포가 아니라 요인의 안전 확보라고 신문은 지적했다.
제2, 제3의 추가 공격을 대비해야 하기 때문이다.
실제 사건 상황을 촬영한 동영상을 보면 야마가미는 약 3초 간격으로 두 차례 발포했다.
그런데 첫 번째 총성이 들린 직후 경호원들은 아베 전 총리를 둘러싸는 행동을 하지 않았다. 경호원의 가장 기본적인 수칙을 지키지 않았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첫 번째 총성을 들은 아베 전 총리는 뒤를 돌아봤고 이어진 두 번째 발포 후 쓰려져 병원으로 긴급 호송했으나 결국 사망했다.
만약 첫 번째 총성 후 경호원들이 아베 전 총리쪽으로 달려가 그를 보호했다면 결과가 달라졌을 수도 있는 대목이다.
요미우리는 또 한국의 대통령 경호 시스템을 소개했다.
신문은 한국은 대통령 경호처가 경호원 약 400명 체제로 대통령과 그 가족 경호를 담당하며 대통령은 임기 후에도 최장 15년 동안 재임 중과 거의 같은 수준의 경호를 받는다고 했다.
한국과 마찬가지로 총기를 엄격하게 규제하고 있는 일본이지만 그럼에도 총격 가능성에 대한 경호팀 판단 자체가 허술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에 일본 경찰청은 지난 1992년 발생한 가네마루 신 당시 자민당 부총재 피격 사건을 계기로 마련돼 30년간 이어진 경호 체제를 재검토해 대폭 수정할 방침이라고 닛케이는 전했다.
[이상규 매경닷컴 기자]
↑ [사진출처 = 연합뉴스] |
↑ [사진출처 = 연합뉴스] |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