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가 전세계로 확산하면서 전문가들은 이미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단계에 접어들었다고 진단했다.
그러나 정작 세계 보건 정책을 담당하는 세계보건기구(WHO)만은 팬데믹 선포를 주저하고 있다.
지난 1월 30일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지난달 28일에는 글로벌 위험도도 가장 높은 단계인 '매우 높음'으로 상향 조정하며 경고 수위를 높이고 있지만, 유독 팬데믹이라는 단어 사용에는 신중한 모습이다.
왜일까? WHO는 이에 대해 명확하게 입장을 밝힌 적은 없다.
일단 WHO는 코로나19에 대한 명확한 팬데믹 기준이나 규정이 아직 없는 상태다. 2009년 신종 인플루엔자 A(HINI)가 발병했을 당시 정해놓은 팬데믹 기준만 있을 뿐이다.
또 하나는 팬데믹이라는 용어 사용에 대한 부담감이다. 팬데믹을 선언하면 통상 각국이 바이러스의 억제(containment)에서 완화(mitigation)로 정책을 전환하게 된다.
억제는 의심 증상을 보이는 환자를 진단하고 격리하며, 이들의 접촉자를 추적하는 과정을 통해 전염이 확산하는 것을 막는다는 의미다. 그러나 일단 바이러스가 많이 확산해서 격리로는 방역이 불가능하거나 실현할 수 있지 않다고 판단될 경우 완화로 전환하게 된다. 이 경우 언제 어디서든 감염이 발생할 수 있다는 가정 아래 휴교를 하거나 대규모 행사를 연기·취소하면서 확산 가능성을 줄이는 데 집중하게 되는데, 현재로서는 억제책이 여전히 유효하다는 것이 WHO의 설명이다.
그리고 다른 하나는 팬데믹 선보에 대한 시점이다. 과거 WHO가 지난 2009년 H1N1에 대해 팬데믹을 선포했을 때 너무 성급했다는 비판이 있었다.
당시 핀데믹을 선포한 이후 H1N1 사태가 예상보다 심각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면서 일각에서는 WHO가 일부 제약회사의 이익이 되는 방향으로 과도하게 대응을
이 때문에 WHO가 코로나19에 대해 팬데믹 선포를 주저할 수밖에 없다는 시각이 있다.
다만 코로나19 발병 국가가 100개국이 넘고 확진자와 사망자가 각각 10만 명, 4000명이 넘어서자 WHO도 지난 9일 팬데믹에 한층 더 가까워졌다고 인정했다.
[디지털뉴스국 이상규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