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대화를 제의하기 전에 미국과 사전교감이 있었다는 한국 정부의 해명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여전히 대화론에 거리를 뒀다. 이에 따라 한국 정부 해명의 신빙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헤더 노어트 미국 국무부 대변인은 18일(현지시간) 정례브리핑에서 '한국 정부의 남북대화 제의에 앞서 한·미 간 사전논의가 있었느냐'는 질문에 대해 "나는 그 문제에 관해 어떠한 외교적 대화도 확인할 수 없다"며 "한국 정부에 물어보는 것이 좋겠다"고 말했다. 한국 정부의 공식 해명을 정면으로 반박하지는 않았지만 긍정적인 확인을 회피함으로써 부정적 의사 표시 내지는 불만의 뜻을 표현한 것이다.
노어트 대변인은 특히 "한국은 미국의 훌륭한 동반자"라며 "한반도 비핵화라는 동일한 목표 아래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를 우려하고 있고, 완전하고 검증가능하며 비가역적인 한반도 비핵화를 추구한다"고 강조했다.
이같은 답변은 북한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급 '화성-14형'을 발사한 지 열흘 만에 이뤄진 남북대화 제의가 미국이 추구하는 방향과는 일치하지 않는다는 것을 우회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보인다.
미국, 일본과 반대로 중국에서는 문재인 정부의 대북 대화제의를 적극 지지하는 분위기다.
관영 차이나데일리는 19일 북한에 문재인 정부의 대화제의를 촉구하는 사설을 게재했다. 신문은 '문의 대화제의는 교착국면을 타개하는 희망을 불러왔다'는 제목의 사설에서 "북한은 문재인 정부가 평화를 제의하면서도 당근만 내밀지 않을 것임을 알것"이라며 "미국과 일본 등 한국의 우방들은 모두 북한에 대해 더욱 강력한 제재를 요구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현 국면에서 평양의 최선의 선택은 문재인의 제안을 받아들이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중국 외교부 루캉 대변인도 18일 정례 브리핑
[워싱턴 = 이진명 특파원 / 베이징 = 박만원 특파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