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4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에 따르면 올해 2월 기준 이들 은행에서 1억원 초과 신규 신용대출이 전체 신규 신용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1.6%를 기록했다. 지난해 동기 27.3% 대비 15.7%포인트 줄어든 숫자다. 건수에서도 올해 2월 1억원 초과 신규 신용대출은 2261건으로 지난해 동기 5871건 대비 62%나 줄었다.
이런 현상은 금융당국이 지난해 11월 연소득 8000만원 이상 고소득자가 신용대출 1억원 이상을 받을 경우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40%를 적용하는 규제를 내놓으며 발생했다. 한도가 줄기 전에 미리 대출을 받으려는 사람들이 늘면서 지난해 11월에는 1억원 초과 신용대출 비중이 31%로 치솟기도 했다.
줄어든 고신용자의 신용대출은 2금융권으로 향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지난 1월 말 기준 신한·KB국민·현대·우리 카드론 대출 고객 중 10% 미만 금리를 적용받는 고신용자 비중은 전년 6월 말 대비 2배 안팎으로 늘었다. 고신용자의 카드론 대출 한도는 통상 3000만원 수준이다. 일부 카드사는 5000만원까지 늘려서 운영하기도 한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초저금리 기조에 카드론 금리도 많이 떨어지면서 이자 부담이 낮아진 이유도 있지만 시중은행들의 신용대출 조임에 따른 풍선효과로 우량 고객이 많이 몰렸다"고 말했다.
저축은행에서 10% 미만 금리로 대출을 받는 고신용자 비중도 최근 1년 새 두 배 이상 급증했다. SBI저축은행은 지난해 2월 말 0.1%에서 올해 2월 2.1%까지 올랐다. 애큐온은 같은 기간 2.6%에서 6.5%, 웰컴저축은행도 1.7%에서 7.2%로 치솟았다.
저축은행업계 관계자는 "저축은행 신용대출은 아직 금융당국의 규제를 받고 있지 않아 1억원 이상도 가능하다"며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이나 신용대출이 막힌 사람들이 개인사업자 등록 등을 통한 우회 경로로 저축은행 대출을 받는 사례도 늘고 있다"고 말했다.
저축은행에서 취급하는 사업자 대출을 활용하면 급여나 근로소득이 없어도 담보 가치의 최대 95%까지 사업자금 용도로 받을 수 있다. 개인 사업자 대출을 받으면 사업 자금으로 사용해야 하지만 저축은행은 상대적으로 관리·통제가 느슨한 편이다.
문제는 정부 규제로 시중은행을 이용하지 못하게 된 사람들이 2금융권을 이용하면서 상대적으로 높은 이자비용을 물어야 한다는 점이다. 고신용자의 시중은행 신용대출 금리는
저축은행 금리도 마찬가지다. SBI저축은행의 경우 14.6%, OK저축은행은 16.7%를 받는다. KB저축은행만 10% 이하인 8.4% 수준이다.
[김혜순 기자 / 김유신 기자 / 한상헌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