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금리 인상과 미·중 무역분쟁에 더해 북한발 훈풍이 약해진 여파로 원화 가치가 위기 신흥국 못지않은 속도로 떨어졌다.
대외 불확실성이 워낙 큰 시기여서 정부 당국은 금융시장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한은도 하반기 첫 기준금리 결정을 앞두고 고민이 깊어진다.
1일 금융시장에 따르면 원/달러 환율은 지난달 14일부터 29일까지 약 보름간 1077.2원에서 1114.5원으로 37.3원 상승했다.
지난달 28일(1124.2원)까지로 보면 무려 47원이나 뛰었다.
지난해 11월 원화가치가 뛸 때보다 빠르다.
미 연방준비제도(Fed)가 지난달 14일 금리인상 횟수 전망을 높이고, 곧이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일단락되는가 했던 미·중 무역분쟁에 다시 불을 지피면서 글로벌 금융시장은 요동쳤다.
이후 원화가치 하락률은 3.3%로 위기 신흥국인 아르헨티나(8.3%), 브라질(3.8%) 통화에 이어 가장 컸다.
중국 위안화(3.3%)와 똑같은 움직임을 보였다.
태국과 인도네시아(각각 3.0%), 호주(2.4%), 남아공(2.3%) 등이 뒤를 이었다. 영국 파운드화도 1.9% 하락했다.
외국인들도 주식 시장에서 빠져나가고 있다.
금융감독원 일일 금융시장동향을 보면 올해 들어 29일까지 유가증권 시장에서 외국인은 4조1000억원 순매도를 기록했다. 지난해에는 9조7000억원 순매수였다.
5월 3000억원 순매도에 이어 6월에도 1조3000억원 팔아치웠다.
다만 최근 원/달러 환율 속도가 유달리 빠른 것이나 외국인 주식 매도를 곧바로 한국 경제 불안으로 연결짓는 데는 이견도 있다.
신흥국 불안이 한국 금융시장에는 뒤늦게 반영됐다는 것이다.
그동안 남북 화해 무드가 달러화 강세 영향을 방어했으나 북미 정상회담 결과가 기대를 넘어서지 못했다는 평가가 나오면서 힘이 빠졌다는 분
신흥국 불안이 본격화된 4월 19일 이래로 원화는 3.6% 하락해서 일본(3.1%), 대만(3.5%)에 이어 하락 폭이 가장 작다. 달러화는 이 기간 5.8% 상승했다.
또, 외국인들은 중앙은행들 중심으로 한국 채권을 사들이고 있다. 6월 7조8000억원을 포함해 올해 들어 29조9000억원 순매수했다.
[디지털뉴스국][ⓒ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