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주 금통위 동결 유력
20일 매일경제가 경제·금융 전문가 10명을 상대로 설문조사한 결과에서도 그대로 나타났다. 10명 중 9명이 오는 24일 금통위에서 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전망했고, 1명만이 인상을 예상했다. 매일경제가 지난 3월 진행한 설문조사에서 10명 중 5명이 5월 인상을 전망한 것과 비교하면 불과 두 달 만에 경기 전망이 그만큼 악화된 것으로 풀이된다.
김정식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는 "고용이 바닥을 치고 수출이 둔화되면서 경기 사이클이 침체 국면으로 진입했다"며 "지금은 오히려 경기를 부양해야 할 시점"이라고 단언했다. 김 교수는 "미국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한미 간 금리 차이 우려가 있지만 국내 경기가 확연히 나빠지기 때문에 금리 인상 시기와 속도를 늦출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김소영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도 "물가상승률이 목표치(2%)를 밑돌고 경기가 나쁜 것을 생각하면 금리는 올리지 말아야 한다"고 전했다. 사실 한은이 지난해 11월 기준금리 인상 이후 줄곧 동결 결정을 내리는 상황에서 한미 간 금리 역전 현상 심화로 이제 한국도 인상할 때가 되지 않았냐는 의견도 있다. 하지만 경기 상황이 예상보다 좋지 않자 전문가 사이에서도 금리 인상 시기를 놓고 혼선을 빚는 모습이다.
실제로 올해 첫 금리 인상 시기는 7월과 10월이 팽팽하게 경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첫 금리 인상 시기로 전문가 10명 중 4명이 7월, 4명은 10월을 꼽았다. 한두 달 전만 하더라도 7월 인상설이 유력했으나 경기가 나빠지면서 10월 인상설이 부상한 것이다. 이에 따라 금리 인상 전망 시기가 '5월→7월→10월'로 연기되는 분위기다. 금리 인상 횟수도 지난번 설문조사와 비교해 1회로 줄었다. 이번 설문조사 결과 전문가 10명 중 8명이 올해 금리 인상 횟수로 1회를 꼽았지만 지난 3월 매일경제 설문조사에서는 1회를 지목한 전문가가 단 한 명도 없었다. 두 달 전만 해도 전문가 10명 모두 1~2회 혹은 2회 이상 금리 인상을 전망했다.
김천구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경기 전망 악화, 고용시장 부진, 물가상승률 목표치 하회 등이 금리 인상 시기와 횟수를 지속적으로 늦추는 요인"이라며 "금리를 인상하지 않더라도 당분간 한미 간 금리 차이에 따른 자본 유출 가능성은 낮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한편 경제전문가 사이에서는 경기가 '고점을 지났다'는 분석이 확산되고 있다. 김광두 국민경제자문회의 부의장의 경기침체론과
[윤원섭 기자 / 김인오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