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美 금리 인상 / 韓銀 금리 동결 ◆
↑ 고민하는 이주열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15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를 주재하며 잠시 생각에 빠져 있다. [이승환 기자] |
이주열 한은 총재는 이날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한층 높아진 대외 여건의 불확실성을 신중히 지켜볼 필요가 있다는 점, 이에 따른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는 점, 가계부채의 큰 폭 증가가 지속되는 점 등을 고려해 동결을 결정했다"며 "앞으로 통화정책은 성장세 회복을 위해 완화 기조를 유지하겠지만 금리 안정에 한층 유의해 운영하겠다"고 설명했다.
2014년 이주열 총재 취임 후 계속된 경기 부진에 따라 금리를 내리기만 했던 한은의 통화정책은 빨라진 미국 금리 인상 시계를 맞아 더욱 어려운 상황에 몰리게 됐다. 지난해 연준이 7년 만에 제로 금리에 종지부를 찍었을 때도 한은의 운신 폭이 좁아졌다는 평가가 나왔지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자의 확장적 재정정책 △원유 감산 합의에 따른 유가 상승 등이 금리 인상과 이에 따른 물가 상승을 초래할 수 있는 새로운 변수로 떠올랐기 때문이다.
한국도 시중금리는 이미 빠른 속도로 올라가고 있다. 지난 7월 1.203%까지 내려갔던 국고채 3년물은 15일 1.697%를 기록했다.
이 총재는 이날 "기준금리를 결정할 때는 자본 유출입 외에 경기와 물가를 포함한 전반적인 경제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며 미국 금리 인상이 한국 기준금리 인상과 직결되는 것은 아니라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한은과 정부는 세계 8위 수준의 외환보유액과 대규모 경상수지 흑자를 근거로 급격한 자본 유출 가능성을 낮게 보고 있다. 하지만 경기 둔화 조짐이 짙어진 신흥국을 중심으로 금융불안이 확산되고 국정공백 상태인 당국이 이에 적절히 대처하지 못하면 위기는 금세 현실화될 수 있다는 경고도 만만치 않다.
오정근 건국대 특임교수는 이날 한국경제연구원이 개최한 '2017년 위기 예방을 위한 정책방향' 세미나에서 "국내 금리가 상승할 경우 한계기업 부실이 증가하고 1300조원에 이르는 가계부채로 인한 부실위험가구도 급증하면서 은행 위기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며 최소 1000억달러가량의 외환보유액을 추가 확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내년 초 경기 침체 우려가 짙어짐에 따라 금리를 오히려 내려야 한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어 한은의 동결 딜레마는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여러 차례 "그 어느 때보다 대내외 불확실성이 높다"고 토로한 이 총재도 "지난 10월 경제전망 당시에 비해 하방 리스크가 더 커졌다"며 "1월에 전망치를 새로 제시하겠
이날 이 총재는 꺾이지 않는 가계부채 급증세를 두고 "수차례의 정부 가계부채 대책이 만족할 만한 성과를 거둔 건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밝혀 정부의 미온적 대응을 우회적으로 질타하기도 했다.
[정의현 기자 / 부장원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