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연준은 고용통계와 더불어 인플레이션을 금리 인상을 결정하는 중요한 잣대로 여기고 있는데 현재 인플레이션 압력이 크지 않은 상태다. 고용여건은 개선됐지만 전반적인 소비자물가는 이에 상응할 만큼 오르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 밖에 미국 주요 도시에서 최저임금을 인상했지만 기업들은 이런 임금 인상을 우회할 수 있는 혁신적인 방법을 찾아내고 있다. 예를 들어 맥도널드 등 일부 패스트푸드 음식점은 주문 접수 카운터 근로자를 태블릿 컴퓨터로 교체하는 계획을 이미 발표하기도 했다.
또 기술과 인구구조적 요인이 인플레이션을 억제할 것이다. 전체 기술 영역에 걸쳐 개선이 이뤄지면서 소비자들은 같은 가격으로 더 많은 서비스를 향유하고 있다. 그리고 많은 수의 베이비부머 세대가 은퇴하게 되면서 지출을 줄일 것인데, 이는 인플레이션 상승을 억제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에 따라 인플레이션이 금리 인상 방정식에서 더 이상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지 않을 수도 있다.
미 연준이 연내 금리를 인상하면 단기금리 시장에는 변동성이 커질 수 있다. 하지만 펀더멘털 측면에서 보면 미국 경제와 시장은 금리 인상 충격을 흡수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견고한 상태다. 특히 노동시장 중에서 소규모 기업의 고용 개선이 뚜렷하다. 지난 7월 소비자지출은 0.4% 늘어났고 2분기 주택가격은 1.2% 상승했다. 이들 지표는 앞으로도 상승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우리는 안정적인 미국 경제성장을 감안해 회사채 시장에 대한 선호도를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투자전략을 다소 조정해 경기확장 국면 방향으로 좀 더 이동했다. 예를 들어 경기민감 업종의 비중을 일부 줄였다.
투자등급 채권 영역에서는 금융과 헬스케어 업종을 선호한다. 비록 미국 은행들이 수년간 이어지고 있는 저금리 환경에서 순이자마진이 낮아지면서 고전하고 있지만, 지난 7년간 자본비율을 크게 개선시켰다. 2008~2009년 금융위기 이후 규제당국은 은행의 재무제표에서 부채비율을 낮게 유지하도록 요구해왔다. 이런 상황이 장기적으로 은행 주식투자자들에게는 불리하지만 채권투자자 입장에서는 유리하다. 몇 년 전에 비해 안전성을 더 확보할 수 있게 됐기 때문이다. 헬스케어 기업 채권도 고령화의 수혜주로 지속적인 관심을 받고 있다.
위험 관리가 중요하긴 하지만 어느 정도 위험을 감수해야만 장기적으로 보상을 받을 가능성이
[로저 베이스턴 프랭클린템플턴 선임부사장][ⓒ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