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경닷컴 MK스포츠(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안준철 기자] “저것도 경기라고 볼 수 있나요?”
2018 자카르타-팔렘방아시안게임에서 처음으로 채택된 태권도 품새를 둘러싼 시선은 엇갈린다.
아시안게임 태권도 품새는 지난 19일(한국시간)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컨벤션센터(JCC) 플래너리홀에서 열렸다. 4개 종목(남자 개인·단체전, 여자 개인·단체전)에서 종주국인 한국은 전 종목 석권을 노렸지만, 아쉽게 남자 종목에서만 2개의 금메달을 목에 걸며 절반의 성공을 거뒀다.
↑ 19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컨벤션센터에서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게임" 태권도 품새 경기가 열렸다. 한영훈, 김선호, 강완진이 남자 단체전 준결승 경기를 갖고 있다. 사진(인도네시아 자카르타)=천정환 기자 |
스포츠로서 태권도를 가리킬 때는 그 범위가 겨루기로 좁혀졌다. 그런데 아시안게임에서 종목으로 채택된 것이다. 물론 세계선수권대회에서는 품새가 정식 종목이다.
사실 품새는 군대를 다녀온 아저씨들이나, 태권도 도장을 다니는 초등학생들에게 익숙하다. 태권도 승급이나 승단 등에 있어 주요 측정 수단이 품새기 때문이다. 물론 이를 ‘경기화’ 했을 때 얘기는 달라진다. 다만 심사위원의 채점을 통해 승자와 패자가 갈리는 방식이기에 논란이 없을 수는 없었다.
품새는 기존 공인 품새(고려, 금강, 태백, 평원, 십진)과 새 품새(비각, 나르샤, 힘차리, 새별)에 배경음악에 맞춰 연기하는 자유품새로 구성돼있다. 개인전에는 자유품새가 없다, 단체전에서는 자유품새가 있는 음악에 맞춰 3인(아시안게임 단체전은 3인, 세계선수권은 5인)의 절도임는 움직임에 여기저기서 박수가 나왔다. 기존 품새의 절도있고, 힘있는 동작과 자유품새에서는 태권도의 색다른 멋을 느낄 수 있었다.
역시 처음이다보니 시선은 엇갈렸다. 비판적인 시선도 있었다. 품새를 스포츠로 볼 수 있냐는 지적은 경기를 지켜보는 사람들 사이에서 나왔다. 태권도인들 사이에서는 태권도의 가치를 둘러싸고 입장이 갈렸다.
↑ 이란 태권도의 대부, 또는 영원한 사부로 불리는 강신철 이란태권도대표팀 총감독. 사진(인도네시아 자카르타)=안준철 기자 |
반면 선수들은 스스로 만족했다. 한국 선수단에 첫 금메달을 안긴 남자 개인전 금메달리스트 강민성은 “여기에 오기 전 품새에 대한 비판적인 기사나 얘기에 속이 상했지만, 오늘 경기를 하면서 많은 팬들이 즐거워 하시는 것을 봤다. 큰 힘도 받았고, 보람도 느꼈다”라고 말했다. 남자 단체전 멤버로 나서 고관절 부상을 딛고 금메달을 따낸 김선호(용인대)는 “품새가 처음 도입된 종목이지만, 기회로 삼았다. 아시아를 넘어 세계에 품새를 알리는 기회가 된 것 같아 기쁘다. 세계로 뻗어나갈 일만 남았다고 생각한다”라며 “품새는 보는 이들이 즐거운 것이다. 겨루기 선수가 아닌, 태권도 선수를 키운다는 목적이다. 그것이 가장 큰 매력인 것 같다”라고 거들었다.
조정원 세계태권도연맹 총재는 “2006년 세계 품새 선수권이 있었다. 더 많은 태권도 보급을 위해 만들었다. 12년이 만에 결과가 나왔다”고 높은
jcan1231@maekyung.com[ⓒ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