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재 발생 인근 마을 추가 대피령 이어져
![]() |
↑ 산청 시천면 산불 / 사진=연합뉴스 |
건조한 대기와 바람의 영향으로 주말 전국 곳곳에서 대형 산물이 잇따라 발생하며 진화 작업에 나선 대원 2명이 사망하고, 주민 수백명이 대피했습니다. 특히 어제부터 이어진 경남 산청지역 산불의 경우 진화되지 않아, 오늘(22일) 16건의 산물이 추가로 발생해 산림청은 산불 재난 국가위기경보 '심각' 단계를 발령했습니다.
이날 산림청 등에 따르면 산불 대응 3단계가 발령된 경남 산청에는 특수진화대·전문진화대를 비롯해 공무원·경찰, 군인 등 1300여명과 장비 120대가 투입됐지만 큰 불길이 잡히지 않은 상황입니다. 3단계는 피해 면적 100㏊ 이상, 평균 풍속 초속 7m 이상, 진화(예상) 시간 24시간 이상일 때 발령됩니다.
경남 산청지역은 진화율도 저주한 상태입니다. 건조한 대기와 산 정상에서 부는 초속 10m 이상의 강한 바람으로 오늘 오후 1시 기준 70%였던 진화율은 오후 3시 기준 65%로 떨어졌습니다. 이러한 영향으로 어제(21일) 산청 7개 마을에 대피령이 떨어져 213명의 주민이 대피한 데 이어 이날은 8개 마을에 추가 대피령이 내려졌습니다.
이날 산불 현장에는 창녕군 소속 진화대원 2명이 숨진 채 발견되기도 했습니다. 아직 숨진 대원의 인적 사항 사망 경위는 파악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산불영향 구역은 290㏊로 더 넓어졌습니다. 전체 화선도 18㎞로 확대됐고, 남은 불의 길이는 6.1㎞ 정도입니다. 일몰 전 큰불 진화가 사실상 불가능할 것으로 보여 화재가 장기화할 가능성도 있는 상황입니다.
![]() |
↑ 경북 의성군 산불 / 사진=연합뉴스 |
아울러 경북 의성군 안평면 괴산리 야산 정상에서도 오늘 오전 11시 24분쯤 산불이 발생해 산림 당국이 대응 '3단계'를 발령하고 진화 중입니다. 현재 헬기 27대와 차량 36대, 인력 375명이 현장에 투입됐으며 의성군은 인근 주민들에게 대피하라고 안내하고 있습니다. 의성군은 이날 오후 4시 10분에 재난 문자를 통해 의성읍 후죽1리, 업1리, 원당리 주민에게 의성실내체육관으로 대피하라고 알렸습니다.
한편 울산 울주군 온산읍 야산에서도 이날 낮 12시 12분쯤 산불이 발생해 산림청이 1단계를 발령하고 진화하고 있습니다. 이 불로 인근 마을에 거주하는 36가구 60명이 대피했습니다. 부울고속도로 온양∼장안IC 인근 양방향 교통이 한때 통제되기도 했습니다.
김해 한림면 안곡리 야산에서도 이날 오후 2시 2분께 불이나 진화작업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진화인력 50여명과 장비 10여대가 투입된 상황이지만, 헬기가 산청 산불 현장에 대거 동원되며 조기 진화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또다른 지역으로는 대구 수성구 옥수동 산, 대구 북구 국우동 야산, 강원 정선군 덕천리 야산, 경기 동두천시와 연천군 2곳에서도 산불이 나 진화에 나섰습니다.
산림청은 이날 전국 곳곳에서 산불이 잇
[지선우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jsw990339@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