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계엄 당시 서울경찰청장이었던 김봉식 전 청장도 오늘 탄핵심판에 증인으로 출석했습니다.
김 전 청장은 대통령으로부터 국회 출입을 통제하라거나 주요 인사를 체포하라는 지시를 받은 적이 없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국회 통제를 한 건 질서 유지 차원에서 한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어서 길기범 기자입니다.
【 기자 】
비상계엄 당시 국회 출입을 통제한 당사자 중 한 명인 김봉식 전 서울경찰청장.
김 전 청장은 "국회 출입을 막은 건 질서 유지를 위해서였다"며 "대통령으로부터 국회 봉쇄 지시 등을 받은 적이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 인터뷰 : 김봉식 / 전 서울경찰청장
- "(국회 출입을 전면 차단 내지 봉쇄하라, 국회의원의 출입을 막으라고 지시한 적 없으시죠?) 네. (주요 인사를 체포하라라고 지시한 적 있습니까?) 그런 사실 없습니다."
또, 밤 11시 넘어 경찰이 2차로 국회 출입을 막은 것도 포고령 해석에 따른 것이었다며 이는 조지호 경찰청장의 지시였다고 증언했습니다.
▶ 인터뷰 : 김봉식 / 전 서울경찰청장
- "본청에서부터 계엄 관련해서 포고령이 하달됐고, 거기에 따라서 국회 전면차단이 필요하다는 그런 지시에 따라서 그렇게 했습니다. (2차 통제, 조지호 청장이 지시한 거죠?) 네."
김 전 청장은 계엄 선포 전 삼청동 안가에서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으로부터 시간, 장소 등이 적힌 문건을 받았다고도 언급했습니다.
'2200 국회'가 적혀 있던 것만기억나는데, 밤 10시에 국회에 출동해야 한다는 뜻으로 질서 유지 차원으로 이해했다고 말했습니다.
▶ 인터뷰 : 김봉식 / 전 서울경찰청장
- "경찰이 해야 할 부분이라고 언급된 내용은 없었던 걸로 기억합니다."
김 전 청장은 윤 대통령으로부터 비상계엄 다음날 조기에 잘 끝났다는 취지의 격려 전화를 받기도 했다고 덧붙였습니다.
MBN뉴스 길기범입니다. [road@mbn.co.kr]
영상편집 : 양성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