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의 '군복무 단축', 3개월→병력 5만명 부족…2024년엔 병력 50만명↓
국방부는 국정기획자문위원회가 병력 50만명 수준으로 감축과 병사 복무 기간 18개월로 단축 추진 등의 국정과제를 제시함에 따라 이를 실현하기 위한 연구에 착수했습니다.
국정기획위는 현재 62만여명 수준인 상비병력 규모를 50만명으로 줄이고, 육군 기준으로 21개월인 병사 복무 기간을 18개월로 3개월 단축하는 것을 문재인 정부의 국정과제로 전날 제시했습니다.
국방부는 병력을 50만명으로 감축하는 우리 사회의 출산율 저하가 걸림돌이 될 것으로 관측하고 있습니다.
올해 기준으로 현재 20세 남자 인구가 35만명 수준이지만, 2022년 이후에는 급감해 현역 가용자원이 부족해질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 국방부의 판단입니다. 특히 국방부는 출산율 저하로 2023년 이후 연평균 2만∼3만명의 현역자원이 부족해질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습니다.
국방부의 한 관계자는 "군은 2022년 이후 병력 가용자원 부족에 대비해 62만여명의 병력을 2022년까지 52만2천명 수준으로 감축하는 계획을 추진 중"이라면서 "그러나 국정기획위에서 50만명으로 감축을 국정과제로 제시한 만큼 군의 병력 가용자원 수급 계획을 새로 짜야 할 판"이라고 말했습니다.
군 일각에서는 '병력 50만명 시대'를 위해서는 병역법에 따라 지원되는 대체·전환복무 인력의 축소 또는 지원 중단이 불가피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현역 판정을 받은 현역 가용자원을 경찰이나 산업체에 지원하는 것이 대체·전환복무 제도입니다.
국방부는 병역법에 근거해 연 2만6천∼2만8천명의 전환·대체복무 인력을 각 분야에 지원하고 있습니다.
올해 기준으로 이들 지원 인력 규모를 보면 의무경찰(21개월 복무) 1만4천806명, 해양경찰(23개월) 1천300명, 의무소방(23개월) 600명, 산업기능요원(34개월) 6천명, 전문연구요원(36개월) 2천500명 등입니다.
국방부는 전환·대체복무제가 계속 존속할 경우 상비병력 규모가 2024년 49만3천명, 2025년 46만8천명 등 50만명 수준을 밑돌 것으로 추산하고 있습니다. 문재인 정부의 국정과제인 병력 50만명 수준에도 못 미치는 현상이 초래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국방부 관계자는 "오는 2030년까지 병력 가용자원 수급 추세를 판단해보니 전환·대체복무 인력을 현역으로 전환하면 상비병력 52만2천명 수준을 겨우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병역자원이 급감하는 2020년대 초반부터는 이들 지원 인력 규모를 점진적으로 축소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습니다.
군은 병사 복무 기간을 26개월에서 24개월로 처음 단축했던 지난 2003년 이후 병사 복무 기간 단축과 병역자원 부족 사태에 대비해 관련 부처와 전환·대체복무 인력 감축 및 폐지 방안을 협의해왔습니다.
그러나 군 관계자는 "우리나라가 징병제를 채택하고 있는 상황에서 병역 의무의 형평성과 공정성, 현역병의 상대적 박탈감 등을 고려해 전환·대체복무제의 합리적 개선이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군 복무 기간을 단축하는 문제도 병력 감축만큼이나 복잡한 상황이라고 국방부 관계자들은 설명합니다.
국방부에 따르면, 한국국방연구원(KIDA)이 시뮬레이션을 한 결과, 복무 기간 1개월을 줄이면 병력은 1만1천여명 부족해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육군 기준으로 21개월에서 3개월을 더 줄여 18개월로 하면 3만3천여명이 부족해
이와 같은 정부의 병사 복무 기간 단축 계획은 이번이 처음이 아닙니다. 박근혜 정부 출범 때도 18개월로의 단축을 검토했으나 병력 수급에 어려움이 많다는 국방부와 병무청 입장에 따라 중장기 과제로 넘어가기도 했습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