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는 '주행안전기술 시대'…현대·기아차 전방충돌방지 보조장치 전 차종 확대 계획
최근 졸음운전과 과속에 따른 대형 인명사고가 잇따르는 가운데, 이런 참사를 예방하고 운전자와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국내외 자동차업체들의 주행안전기술 개발 경쟁도 갈수록 뜨거워지고 있습니다.
이들 기술은 장기적으로 보면 자율주행차와도 연결됩니다.
운전자를 보조하는 차원에서 더 나아가 운전자의 개입 없이 스스로 안전하게 주행하는 단계로까지 발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승용차 주행안전기술의 경우 2010년대 초반까지는 고가의 센서를 다수 장착해야 하는 탓에 주로 고급차를 중심으로 적용됐습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고령 운전자가 늘고 안전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소형차에서 최고급 세단에 이르기까지 차급 구분 없이 대부분의 차량으로 확대됐습니다.
흔히 알려진 LDWS와 자동비상제동장치(AEBS) 외에도 차선유지보조시스템(LKA), 전방 충돌방지 보조시스템(FCA), 후측방 충돌 경고 시스템(BCW), 후방 교차충돌 경고(RCCW) 등의 기술이 양산차에 적용 중입니다.
LKA는 전방 유리에 부착된 카메라를 통해 도로 차선 표시를 인식한 뒤 운전자가 방향지시등 조작 없이 차선을 넘어설 경우 스티어링 휠(운전대)을 모터로 조작해 차선 안으로 주행하도록 돕습니다.
FCA, BCW, RCCW는 모두 차량 앞, 뒤, 옆에 부착된 센서를 활용해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접근 차량이나 물체가 있으면 자동으로 브레이크를 작동시키거나 바퀴를 미세하게 조정해 충돌을 막는 기능을 합니다.
이 밖에 앞차와의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며 항속·완전 정차·재출발하는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SCC)과 정상적인 주행상황과 다른 형태가 감지되는 경우 계기판에 이를 알리는 운전자 주의경고 시스템(DAW), 반대편 차선의 차량 불빛을 감지해 상향등을 하향등으로 자동 전환하는 '스마트 하이빔' 등의 기술도 개발됐습니다.
상용차는 한번 사고가 나면 피해가 훨씬 큰 만큼 특화된 주행안전기술이 폭넓게 적용됐습니다.
현대·기아차는 경사로에서 정차 후 재출발할 때 차가 뒤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언덕길 발진 보조장치'와 내리막길에서 일정 속도 이상 가속되지 않도록 해주는 '리타더 다운힐 크루즈' 등의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이 기술은 현대차 유니버스, 기아차 그랜버드 등 대형버스에 기본 적용됐으며 대형트럭 엑시언트에는 옵션 사양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아울러 평소 차간 거리를 12m로 유지해 대열을 이뤄 주행하다가 중간에 다른 차가 끼어들면 차간 거리를 일시적으로 15m로 늘리는 '군집 자율주행 기술'이 개발 단계에 있습니다.
볼보트럭 FH 6x2와 다임러트럭 악트로스 등 트랙터도 선행 차량과의 적절한 거리를 자동으로 유지해 운전자 스트레스와 조작의 번거로움을 줄여주는 차간거리유지시스템(ACC)을 비롯해 다양한 주행안전기술을 갖췄습니다.
이처럼 교통사고를 예방하는 첨단기술이 상용화됐으나 대부분 옵션으로 적용하면서 차 값이 비싸지는 탓에 소비자가 실제 활용하기에는 아직 장벽이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결국 자동차 제조사들이 합리적인 범위 내에서 기본 장착을 늘리고, 생계형으로 쓰이는 상용차의 경우 정부의 적극적인 재정 지원이 있어야 주행안전기술이 실생활로 확산할 수 있을 전망입니다.
예를 들어 현대·기아차의 경우 2020년 말까지 자사 모든 승용차와 다용도 차(RV) 모델에 긴급 상황에서 차
택시, 소형 상용차(포터·봉고)의 경우 우선 옵션(선택사양)으로서 FCA가 제시됩니다.
이후 소상공인, 택시 사업자 등의 의견 수렴을 거쳐 이들 차종에도 FCA를 기본 적용하는 방안이 검토됩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