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경인 디지스트 교수팀이 개발한 무선통신 기반 전자피부를 활용해 사용자의 건강 정보를 진단하는 모습. [사진제공 = 디지스트] |
10일 디지스트는 장 교수팀이 미국 일리노이대 존 로저스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식물의 넝쿨 구조를 모방한 전도선을 활용해 무선통신 기반의 전자피부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휴대전화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전자피부는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든지 피부에 부착해 자신의 건강을 진단하고 치료에 활용할 수 있다.
연구팀이 개발한 전자피부는 중앙처리장치와 메모리, 센서, 안테나 등이 포함된 집적회로소자로 연구팀이 새롭게 고안한 스프링 구조의 고신축성과 초연성 등을 가진 신소재다. 그동안 집적회로소자를 전자피부에 활용하려는 시도는 많았지만 딱딱한 재질로 인해 전자피부에 활용하기에는 한계가 많았다.
연구팀이 개발한 전자피부는 얇고 부드러우면서도 별도의 접착제가 없이도 붙일 수 있어 사용자가 신체 원하는 부위에 반창고처럼 직접 부착할 수 있다. 연구팀은 금속과 폴리머 복합재료를 사용해 식물 넝쿨의 구조를 응용해 이같은 전자피부를 구현하는데 성공했다.
전자피부는 하나의 독립된 컴퓨터처럼 작동하기 때문에 생체신호의 수집, 분석, 저장이 가능하고 무선통신으로 휴대전화 어플리케이션에 전송해 건강 정보를 진단할 수 있다.
장 교수(로봇공학전공)는 "전자피부는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활용해 의료 시스템으로 발전시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의 자매지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6월 21일자 온라인 판에 게재됐다.
[대구 = 우성덕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