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중·고 교사 절반 수능-내신 절대평가 찬성…"교육 정상화·입시부담 완화"
초·중·고 교사의 절반 이상이 대입수학능력시험과 고교내신 절대평가화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은 4일 하윤수 회장 취임 1주년 기자간담회에서 문재인 정부 주요 교육공약에 대한 교원 인식 모바일 설문조사 결과를 공개했습니다.
이번 설문조사에는 전국 초·중·고교 교원 2천77명이 참여했으며 신뢰수준 95%에 표본오차 ±2.15%포인트라고 교총은 설명했습니다.
'수능을 절대평가로 전환하는 것을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물음에 응답자 51.90%(1천78명)는 긍정적, 39.77%(826명)는 부정적이라고 답했으며, '잘 모르겠다'고 한 응답자는 8.33%(173명)이었습니다.
수능 절대평가화를 긍정적으로 본 이유로는 '고교교육 정상화에 기여'(505명)와 '학생들 입시부담 완화'(307명)를 많이 꼽았습니다.
'다양하고 내실 있는 교육활동이 가능해짐'과 '사교육비 경감' 등을 택한 이는 각각 216명과 41명이었습니다.
부정적인 생각을 밝힌 응답자들은 '변별력 확보가 어려움'(401명)을 가장 큰 이유로 들었습니다.
다음은 '변별력 확보를 위한 대학별 새 전형방법 도입 우려'(282명), '내신이 불리한 학생의 대학진학 기회 축소'(82명), '정시모집 위축 우려'(57명) 순이었습니다.
고교 내신 절대평가화는 55.03%(1천143명)의 응답자가 긍정적, 37.07%(770명)가 부정적이라고 밝혔습니다.
잘 모르겠다는 이들은 7.90%(164명)이었습니다.
긍정적이라는 응답자들은 '학생들 학습·입시부담 완화'(560명)와 '교육적으로 바람직한 방법'(502명)이라는 이유를 많이 택했습니다.
부정적 견해를 밝힌 응답자는 '변별력 확보용 대학별 새 전형방법 도입과 사교육비 증가(340명)'와 '성적 부풀리기'(287명), '학교 간 학력차로 고교등급제 발생'(140명) 등을 우려했습니다.
학생이 수업을 선택해서 듣도록 한다는 '고교학점제'에 대해서는 부정적으로 생각한다는 응답자가 47.38%(984명)로 긍정적인 응답자(42.61%·885명)보다 많았습니다.
부정적인 이유로는 '대입에 유리한 교과목 위주로 학생들이 쏠릴 우려'(425명)와 '다양한 수업을 위한 교과목·교사·시설 등 부족'(342명)을 많이 꼽았습니다.
긍정적으로 본 응답자들 가운데는 '적성과 소질에 맞는 진로맞춤형 교육 강화'(577명)를 이유로 든 사람이 가장 많았습니다.
'교장 공모제 확대'에는 긍정과 부정이 각각 28.07%(583명)와 65.09%(1천352명)였으며, 유·초·중등 교육권한을 시·도 교육감에게 이양하는 문제는 긍정적 답변이 35.73%(742명), 부정적 답변이 55.51%(1천153명)였습니다.
유·초·중등 교육권한 이양에 따라 교원 신분을 국가공무원에서 지방공무원으로 바꾸는 것에는 응답자의 87.87%(1천825명)가 부정적이고 5.78%(120명)만 긍정적이었습니다.
교총은 이날 수능 절대평가화에 찬성한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다만 고교 내신 절대평가화는 "신중히 검토해야 한다"고 했고, 고교학점제에 대해서는 현장준비·지원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속도 조절을 주문했습니다.
교장 공모제와 유·초·중등 교육권한 교육감 이양, 외국어고와 자율형사립고(자사고) 폐지에는 반대했으며 교권 보호를 위한 교원지위법 개정, 교원 차등성과급제 폐지를 촉구했습니다.
하윤수 교총 회장은 "조기 대선으로 탄생한 새 정부가 짧은 기간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잘 헤쳐나가고 있다"면서 "쟁점이 있는 교육정책에 대해서는 다양한 사람이 참여하는 국가교육회의를 통해 합의를 도출하고 시행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하 회장은 "외고·자사고 일괄폐지에 반대한다"면서도 "설립 취지를 잃거나 학생모집에 어려움을 겪는 학교에 대한 보안책은 필요하며 교총도 관련 연구용역을 하고 있다"고 소개했습니다.
법외노조화 철회를 요구하는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에 대해서는 "교총과 함께 가야 할 교육단체"라면서도 대법원의 관련 판결을 기다리겠다고 했습니다.
하 회장은 "표현이 이상할 수는 있지만
전교조는 하 회장의 '형·동생' 발언에 즉각 논평을 내어 "교총 같은 형을 둔 적 없다. 교육 기득권을 누려온 교총은 새 시대를 맞아 당분간 말을 아끼며 과거 성찰과 내부 개혁에 힘 쏟길 바란다"고 비판했습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