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대통령의 석방으로 사실상 조기 대선을 준비하고 있던 여권 잠룡들의 대권 행보도 주춤하는 모양새입니다.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는 공식 일정을 멈췄고 홍준표 대구시장은 언론 인터뷰도 뒤로 미뤘습니다.
윤 대통령과의 관계 설정을 두고도 고심에 빠진 분위기입니다.
조일호 기자입니다.
【 기자 】
윤 대통령의 석방에 여권 잠룡들은 일제히 환영 메시지를 냈지만 속내는 더 복잡해졌습니다.
탄핵심판 일정이 불확실한 상황에서 무게중심이 윤 대통령쪽으로 기울면서 잠룡들의 활동 폭이 좁아진 겁니다.
대부분의 공개 일정을 탄핵심판 선고 이후로 미룬 가운데, 저마다 대통령과의 관계 설정에도 나섰습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윤 대통령의 '관저 정치' 논란을 옹호하며 지지층을 끌어안았습니다.
▶ 인터뷰 : 오세훈 / 서울시장 (어제)
- "필요하면 (대통령이) 사람을 만날 수 있는 거죠. 민주당에서 그런 만남조차도 경원시하는 논평을 낸 걸 봤는데 그건 너무 무리한 주장이라고 생각합니다."
한동훈 전 대표도 지난 10일 북콘서트를 마지막으로 공식 일정을 잠시 멈췄고 홍준표 대구시장은 예정된 언론 인터뷰를 연기하며 속도 조절에 나섰습니다.
이런 가운데 관저로 복귀한 윤 대통령이 여권 잠룡 중 누구와 먼저 만날지도 관심입니다.
여권 관계자는 "대통령 지지율이 높은 상황에서 석방까지 되면서 윤 대통령이 누구에게 힘을 실어줄지가 관건"이라고 언급했습니다.
▶ 스탠딩 : 조일호 / 기자
- "다만, 윤 대통령이 중도 확장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오는 만큼 윤 대통령과의 관계 설정을 어떻게 할 지는 잠룡들이 풀어야 할 숙제로 남았습니다. MBN뉴스 조일호입니다."
[jo1ho@mbn.co.kr]
영상취재 : 임채웅 기자
영상편집 : 이주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