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에 소주를 5잔 이상 마시는 '고위험 음주자'가 음주량을 1잔 정도로 줄여 '저위험 음주자'가 되면 대사증후군 발생 위험이 39%가량 감소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습니다.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연구팀(박상민 교수, 최슬기 연구원)은 총 2회에 걸쳐 건강검진을 받은 평균나이 52세의 도시 거주자 4만 1천 368명(남 1만 3천 832명, 여 2만 7천 536명)을 분석한 결과, 알코올 섭취량 변화와 대사증후군 사이에 이런 연관성이 관찰됐다고 오늘(3일) 밝혔습니다.
대사증후군은 복부비만, 고혈당, 고혈압, 고중성지방혈증, 낮은 고밀도 콜레스테롤혈증 중 3가지 이상이 한꺼번에 찾아온 상태를 말합니다. 대사증후군은 그 자체로도 문제지만, 당뇨병과 심뇌혈관질환을 일으키는 것은 물론 사망 위험도를 높이기 때문에 평소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을 조절하는 게 중요합니다. 이런 주요 위험요인 중 하나가 음주입니다.
이번 연구결과를 보면 첫 번째 건강검진 당시 음주량이 하루 소주 1잔 이내였던 저위험 음주자가 두 번째 건강검진 때 하루 소주 5잔 이상을 마시는 고위험 음주자가 된 경우 대사증후군 발생위험도는 저위험 음주를 유지한 사람보다 45% 높게 평가됐습니다.
최슬기 연구원은 "저위험 음주자였다가 알코올 섭취량이 증가하면 대사증후군 위험도도 덩달아 높아진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는 연구결과"라고 설명했습니다.
반면, 하루 음주량이 소주 5잔을 넘는 고위험 음주자가 1잔 이내의 저위험 음주자가 된 경우에는 고위험 음주를 지속한 경우에 견줘 허리둘레가 줄어들고, 공복혈당과 혈압, 콜레스테롤 수치가 개선되는 등 대사증후군 발생위험도가 39%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보통 알코올 농도 18도를 기준으로 한 소주 1병의 총 알코올은 51.84g으로, 이를 소주잔으로 옮겨 담으면 대략 5∼7잔 정도에 해당합니다.
전문가들은 술을 해독하는 능력이 인종이나 사람마다 다르고, 술의 종류도 다양하기 때문에 저위험 음주를 일률적으로 정의하기는 어렵다고 말합니다. 다만, 한국의 경우 소주 기준으로 하루 1잔 이내를 저위험 음주로 보는 게 일반적입니다.
하지만 소량의 음주에도 얼굴이 빨개지고 힘든 사람들은 건강을 위해 아예 술을 마시지 말아야 한다는 권고도 있습니다. 이는 한국인 등 동아시아인이 유전적으로 서양인보다 알코올 대사물질인 아세트알데히드를 분해 처리하는 기능이 떨어지기 때문으로, 한국인 가운데 최대 40%가 이에 해당합니다.
박상민 교수는 "과도한 음주는 혈압과 중성지방 수치를 높이고, 복부비만을
이 연구결과는 대한당뇨병학회가 발행하는 국제학술지(Diabetes & Metabolism Journal) 최근호에 발표됐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